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양군 강현면 상복리 상복골의 모심는소리-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광복, 김시종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조광복, 나/김시종 |
지역개관 | 상복골은 설악산 화채봉 자락에 자리잡고 있으며 마을 가운데로 계곡이 흐르는 깊은 산골짜기 마을이다. 자연마을은 개울말, 둔덕말, 양지말, 장재터, 핏골 등이 있고, 복골은 상복리, 중복리, 하복리에 걸쳐있는 큰 골짜기를 말한다. 예전에는 김해 김씨 집성촌이었고, 지금도 전체가구의 반 정도가 김해 김씨이며 나머지는 각성바지이다. 현재 65가구가 논농사 중심으로 농사를 짓고 있으며 면골, 한당골, 풀성골 등에 논이 있는데 주로 다락논이 많다. 밭에는 감자, 옥수수 등을 재배한다. 동제는 해마다 정월 초순에 날을 받아 지내고 있다. 양양군의 다른 지역에 비해 전통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어 상복골 농요 등 여러가지 고유의 민속으로 민속예술 경연대회에 참가한 경험이 여러 번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2월 7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상복리 상복골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광복, 김시종이 참여하였다. |
가사 | 가 : 심어주게 심어주게 또 심어주게
바다같은 요 논배미 또 심어주게 나 : 산이야 높어야 골도 깊지 쪼끄만 여자 속이 뭘 그리나 깊느냐 가 : 눈이야 올라거덩 펑펑 쏟아지기나 하지 우리님은 언제 올라고 소식조차 없나 나 : 놀다가야 죽어도 원통한데 밤낮을 모르고야 일만야 하느냐 가 : 꼴망태1) 낫망태는 들가방 삼아 씨구요 호무자리 낫자린2) 만년필 삼아 씨누나 나 : 설악산 산지골에 실안개 돌고 우리집 문전에 정든님 오네 가 : 나두야 타고날 젠 잘 살라고 났건만 무스네 팔자라서 남으집만 사느냐 1)꼴망태 : 꼴(소나 말에게 먹이는 풀) 베어 담는 망태기. 새끼나 노를 엮어서 만듦. 2)호무자리 낫자리→호미자루 낫자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