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미나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양군 강현면 상복리 상복골의 논매는소리-미나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양봉석, 조광복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양봉석, 뒤/조광복 외 |
지역개관 | 상복골은 설악산 화채봉 자락에 자리잡고 있으며 마을 가운데로 계곡이 흐르는 깊은 산골짜기 마을이다. 자연마을은 개울말, 둔덕말, 양지말, 장재터, 핏골 등이 있고, 복골은 상복리, 중복리, 하복리에 걸쳐있는 큰 골짜기를 말한다. 예전에는 김해 김씨 집성촌이었고, 지금도 전체가구의 반 정도가 김해 김씨이며 나머지는 각성바지이다. 현재 65가구가 논농사 중심으로 농사를 짓고 있으며 면골, 한당골, 풀성골 등에 논이 있는데 주로 다락논이 많다. 밭에는 감자, 옥수수 등을 재배한다. 동제는 해마다 정월 초순에 날을 받아 지내고 있다. 양양군의 다른 지역에 비해 전통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어 상복골 농요 등 여러가지 고유의 민속으로 민속예술 경연대회에 참가한 경험이 여러 번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2월 7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상복리 상복골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양복석, 조광복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논을 세벌까지 모두 손으로 맸다. 보통 15일 간격으로 논을 매는데, 초복에 아이짐을 매고 중복에 두벌 매고 말복 전에 세벌을 다 맸다. 논매는소리는 오전에 미나리를 부르고 오후에는 동강소리를 불렀다. 미나리를 부를 때도 오독떼기와 마찬가지로 한 마디 끝나면 “아허이 끙”하고 소리를 지르는데 이 소리는 여흥으로 들어가는소리이며 노래를 못하는 사람들이 질러준다고 한다. 그리고 미나리를 부르다가 “우겨라 우겨라” 하면 손이 아주 빨라진다. 이 동네 미나리는 속초시 도문동과 같은 형태로 예전에 이 두 마을은 같은 행정구역에 속해 있었다고 한다. |
가사 | 심심하고
얌얌한데 질꾸내기1) 불러 아어 주게 매여주게 매여주게 손을 쎄워 매여 아어 주게 산들산들 부는 바람 모시적삼 입고 아아 지고 모시적삼 입던 몸에 삼베적삼2) 웬 말 아어 이냐 질꾸질쌈3) 잘하는 여자 울릉발이4) 태워 아어 주게 질꾸질쌈 못하는 여자 매나 쿵쿵 때려 아어 주게 1)질꾸내기 : 여기서는 미나리를 일컫는 말. 춘천군 지역에도 논매는소리에 질꼬내기가 있다. 질꾸내기 또는 질꼬내기는 풍물굿에서 길을 갈 때 치는 가락 길군악을 말하며, 민요에서도 길을 오가며 부르는 노래를 같은 이름으로 부른다. 2)삼베적삼 : 삼베로 만든 저고리. 모시적삼보다 거칠고 뻣뻣하다. 3)질꾸질쌈 : 길쌈. 4)울릉발이 : 길쌈을 잘하는 여자에게 주는 상이라고 하는데 가창자들도 정확하게는 해석을 못하고 잘한다고 추켜주는 것 또는 소 등에다 상으로 뭔가를 한짐 실어주는 것이라고도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