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선유에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양군 양양읍 감곡리 열두감동골의 논삶는소리-선유에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종윤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종윤 |
지역개관 | 양양읍 감곡리는 열두개의 골에 각각 자연마을이 있어서 열두감동골이라 했고 함지골, 틀집거리, 질꾸말, 거리말(대산터), 큰말, 샛말, 동사거리, 선녀말, 안말, 양지말, 돌머리, 삼거리(소만)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소만은 소를 만마리 키워서 소만이라 불렀다고도 하는데 작은 소만이, 새김이골, 양골 등의 마을이 있다. 예전에는 80여 가구가 살았으나 지금은 4개 반에 56가구가 살고 있다. 마을에는 전씨가 제일 먼저 들어왔으며 김해 김씨, 안성 이씨가 들어왔다고 한다.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에 종사하고 밭보다는 논이 더 많아 논농사 중심이다. 논과 밭이 있는 들이나 골은 제일 좋은 곳이 뜨니들(뜨니평)이고 마라피(동네앞), 소만이, 방추리골, 골세골, 덩대곡골, 멫게골, 성악골, 지르내미골 등이며 밭이 하나 있어도 골짜기 이름이 있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1월 23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감곡리 열두감동골에서 채집한 논삶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종윤이 참여하였다. 이곳에서는 소 한마리로 쟁기질을 하고 논을 삶을 때는 두 마리로 삶았다. 두 마리가 삶는 것은 한스레라 하고 한 마리가 삶는 것은 쪽스레. 이 소리는 논삶는소리로 부른 것인데 사설에 논 가는내용이 섞여있다. 실제로 일을 하면서 부른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는 것과 삶는 것이 섞여서 나타난 것 같다. 말기(맑)는 쟁기질 할 때의 고랑(곬)에 해당되는 것으로, 써레가 채 지나가지 않아 흙덩이가 진 부분을 말한다. |
가사 | 이러! 어러잇 올라 내리지를 말구 이러 이러!
왜 이렇게 올라서! 이러! 어러 말 일기지만 말구1) 떄가 돼간다 부지런히 가자! 부지런히 가! 왜 올라서! 이러! 어러 러 이러 어러잇 이리 올라 내리지만 말구 어러러2) 이러 이러 빨리 가! 부지런히 가 낮이 되간다! 이러! 이러 아 우리 큰 암소 잘두 해! 이러 어러 말 일기지만 말구 올라서! 또 너머 올라섰어 좀 내려서! 바로 가! 이러 어러러! 이러다간 야 한나절 야 이거 다 못갈겠다 뭔 체면으로 가 점심 먹을려고 그러니 부지런히 가자 이러 이러! 어러 어러어러 부지런히만 가자 어러 야 새끼가 집에서 자꾸 젖 생각하쟎냐 부지런히 가야지 한나절 할일은 다해야지 아니하고 가면 되겠니 부지런히 가자 이러! 어러! 올라내리지만 말구 이러 이러 부지런히 가! 이러! 어러러 말 일기지만 말구 이러 이러 어 와 와 이러 돌아시고 이러 이리 돌아서라 말 일기지만 말구 이러 이러 부지런히 가! 너무 올라셌어! 너무 올라세! 그 질루 바로 가! 이러 올라내리지만 말구 어러러 부지런히 가자! 부지런히 가! 이건 다 갈아야 가지! 이러이러! 어러러 일리 돌어서라 이러이러! 부지런히 가! 말 일기지만 말구 어러러! 집에 새끼는 기다린다 얼른 다 갈구 가자! 때 늦어간다 이러! 어러러 일 부지런히만 가자 어러러 이러! 얼른 가자! 인젠 나가자 다 갈았다 점심 먹으러 가자! 1)말 일기지만 말고 : 말기를 어기지 말고. 2)어러러 : 바로 서라는소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