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마뎅이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양군 손양면 도화리 도화동의 벼떠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상수, 최용상, 전종우, 지세기, 이기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최상수, 뒤/최용상, 전종우, 지세기, 이기호 |
지역개관 | 도화리는 도라골, 발월(박정택), 새천골, 굴등(저울기)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43가구에 170여 명이 살고 있고 주민의 90%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비농가는 3가구이다. 논은 뒷골 갯가에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1월 9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도화리 도화동에서 채집한 벼떠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상수, 최용상, 전종우, 지세기, 이기호가 참여하였다. 도리깨로 벼를 털면서 하는소리이다. 상도리깨가 소리를 메기고 곱도리깨가 받는다. 곱도리깨는 보통 10~20명 정도가 들어가 반달본으로 서서 도리깨질을 하며 상도리깨 한 명이 이들과 마주보고 선다. 곱도리깨는 제자리에 고정되어서 도리깨질을 하지만 상도리깨는 계속 움직이면서 도리깨로 태질한 다음에 나온 볏단을 안으로 들여보내고, 곡식이 덜 떨어진 곳을 일러주며, 다 떨어진 볏단은 밖으로 후려낸다. 상도리깨는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어서 마을에 한, 두명 있을까 말까하고 외부에서 사오는 경우도 많은 특별한 일꾼이라고 한다. 마뎅이소리는 보리타작에서는 거의 하지 않고 주로 벼타작에서 불렀던 소리이다. 소리가 흥이 나면 모두 다리를 들멍들멍하면서 도리깨질을 한다고. |
가사 | “자아 도리깨들 다 맸나? 자 우리 한 번 해보자. 한 마데이 해 보세!“
아하 어허 에헤루 마뎅이여1) 에헤루 마뎅이여 오늘은야 여기서 하고 에헤루 마뎅이여 내일은 어디 가 하나 에헤루 마뎅이여 마뎅이소리가 처량하면 에헤루 마뎅이여 백사석이 나온다 에헤루 마뎅이여 한 번 치니 수만석이요 에헤루 마뎅이여 두 번 치니 억수만석 에헤루 마뎅이여 앞에는 앞노적이요 에헤루 마뎅이여 뒤에는 뒷노적 에헤루 마뎅이여 노적 노적 쌓여노니 에헤루 마뎅이여 쿵쿵절사 잘두 친다 에헤루 마뎅이여 상도리깨가2) 휘젔거든 에헤루 마뎅이여 곱도리깨는 후레쳐라 에헤루 마뎅이여 저기 저게 저 앞에는 에헤루 마뎅이여 이스락베가3) 나가는구나 에헤루 마뎅이여 마뎅이 소리가 처량하면 에헤루 마뎅이여 내년 농사도 풍작이다 에헤루 마뎅이여 이집 문전에 마뎅이소리 에헤루 마뎅이여 마뎅이소리 한 마디에 에헤루 마뎅이여 수복이4) 들어 옵니다 에헤루 마뎅이여 막걸리 한 잔 먹구 하세 에헤루 마뎅이여 에헤루 마뎅이여 에헤루 마뎅이여 속소5) 속소 너머 속소 에헤루 마뎅이여 이번 참에 너머 속소 에헤루 마뎅이여 고만 저만 쉬여하세 에헤루 마뎅이여 1)마뎅이→마당질 : 곡식의 이삭을 떨어 낟알을 거두는 일. 타작. 2)상도리깨 : 여러 명이 도리깨질을 할 때 한 명이 도리깨로 곡식을 흩뜨려서 골고루 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이 사람을 상도리깨라 하고 나머지는 곱도리깨 또는 종도리깨. 3)이스락베 : 이삭이 달린 벼. 4)壽福. 5)속소 : 수고했다는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