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목도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통나무벌목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양군 손양면 하왕도리의 목도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형근, 김희영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형근, 김희영 |
지역개관 | 양양군은 강원도 동해안에 위치한 군이다. 동쪽으로는 동해, 서쪽으로는 인제군·홍천군, 남쪽으로는 명주군, 북쪽으로는 속초시와 접하고 있다. 군의 총면적은 623.21㎢이고, 1996년 8월말 현재 9,546가구에 인구는 31,157명이다. 행정구역은 1읍 5면 125리 419반 296개의 자연마을로 되어 있으며, 군청소재지는 양양읍 군항리이다.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 유적지가 손양면 오산리에서 발견되어 오래전부터 사람이 살았다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1963년에는 속초시가 분리되었고, 죽왕면·토성면이 고성군으로 환원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2월 7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하왕도리에서 채집한 목도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형근, 김희영이 참여하였다. 두사람이 하는 2목도소리로 녹음했다. 돌덩이를 나를 때 2목도를 많이 썼다. |
가사 | (1)
차저허어 허어 허기졍 허기졍 허기졍 허기졍 허기영차 허기져 허기여차 허기져 허기여차 허기져 허기여차 허기져 ......(사설생략) 놓고 놓고 -2 차저허허 허어 허기졍 허기졍 허기졍 허기여차 허기져 허기영차 허기져 허기여차 허기져 허기저처 허기져 허기여차 허기져 허기여차 허자 허기여차 허기져 하저어 허기져 허기여차 허기져 허기여차 허기져 허기여차 허기져 허기영차 허기져 저기 가는 저 여자 허기여차 허기져 허기여차 허기져 허기저차 허기져 엉덩이를 보아라 허기저차 허기져 허기여차 허기져 허기정차 허기져 제 멋이 들었는지 하자어 허여 허기여차 허기져 허기영차 허기져 실룽 실룽한다 허여 허기영차 허기져 허영차 허여 하저어 허기졍 어영차 하여 하자어 허기져 허기졍 허여 ......(사설생략) 놓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