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멸치잡이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대표어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양군 손양면 동호리 장준의 [멸치잡이] 배내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연배, 김근배, 전성렬, 엄기동, 손종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연배, 뒤/김근배, 전성렬, 엄기동, 손종길 |
지역개관 | 동호리는 바다와 인접하고 있는 어촌으로 자리목이, 굴개, 장준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마을은 6·25 당시 모두 불타고 다시 집을 지어서 현재의 마을을 이루었으며 67가구에 250여 명이 살고 있다. 이 중에서 20여 가구가 어업에 종사하고 나머지는 반농반어이다. 장준은 16가구 모두가 반농반어에 종사한다. 대부분의 마을사람들은 농한기를 이용하여 부업으로 바다에서 일을 하며, 농사는 논과 밭이 반반으로 마을에는 밭만 있고, 논은 상운리에 있다. 이 마을은 아직도 멸치후리질을 하고 있으며 멸치후리배인 목선이 있다. 주변의 다른 마을에 비해 후리질을 할 수 있는 자연조건인 백사장이 있어서 금년 겨울에도 멸치후리질을 했었다. 마을에는 굴개와 장준에 서낭당이 있어서 굴개는 동짓달 초정일(初丁日)에, 장준은 동짓달에 날을 받아 동제를 지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1월 12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동호리 장준에서 채집한 멸치잡이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연배, 김근배, 전성렬, 엄기동, 손종길이 참여하였다. 본 자료는 1995년 2월 7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하왕도리에서 채집한 목도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형근, 김희영이 참여하였다. 이 지역은 아직도 후리질로 멸치잡이를 하고 있는 지역이다. 멸치는 가을 추수기(음력 10월 초)에 많이 잡힌다. 후리질은 배에 그물을 싣고 노를 저어 나가서 그물로 멸치떼를 둘러싼 다음 해안으로 그물줄을 끌고 나와 동네사람들이 함께 당겨내는 방식이다. 배내리는소리는 망지기가 멸치떼가 들어오는 것을 알리면 모두 달려나가 바다로 배를 끌어내리면서 하는소리다. 이 마을은 망지기가 굴개 뒷산에서 망을 보며, 하얀 깃발을 흔들어 마을 사람들에게 멸치떼가 들어 오는 것을 알려준다. 배를 내릴 때에는 지렛대 역할을 하는 둔대가락을 대고 제키면서 밀어 내린다. 노젓는소리는 그물을 싣고 나아가 멸치떼를 둘러싸서 해안으로 돌아오면서 계속 노를 저으며 하는소리다. 사공이 뒤에 있는 한놀을 잡고 소리를 메긴다. 노는 모두 다섯개로 뒤에 한놀이 있고 양옆에 두개씩 있다. 1970년대에 기계선이 나왔지만 경제적으로 모두 기계선을 탈 수는 없어서 그 뒤에까지 노젓는 배가 남아 있었다. 그물은 보통 한시간 정도 당기나 멸치가 많을 때는 서너시간 걸릴 때도 있다. 서른에서 마흔명이 당기며 일꾼들이 모자라기 때문에 온 마을 남녀노소가 모두 나와서 당긴다고 한다. 이 때 그물당기는소리를 한다. 가래소리는 후리질의 마지막 단계로 해안 가까이 끌어낸 멸치를 산대로 펴내면서 하는소리이다. 이 작업은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으로, 밤을 새워 산대질을 할 때가 많았다고 한다. 산대는 한 사람이 손잡이를 잡고 끈을 달아서 모두 당긴다. 산대질 열다섯번 정도면 배 하나가 꽉 찬다. |
가사 | <배내리는소리>
자 아하 자 아하 잘 내려간다아 아하 자 아하 아이 아하 아이 아하 아이 아하 연에 아리야1) 아하 아이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내려 눌러라야 아하 에히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연에 아리랴 아하 연에 아리야 안들린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내밀어라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연에 아랴!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잘 내려간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야 괴탕2) 좀 보자 아하 야 괴탕좀 봐 아하 괴탕좀 보자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연에 위에가 안들린다 아하 연에 위에가 안들래 아하 연에 아래는 들리는데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연에 아랴! 아하 연에 아랴!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연에 아랴 안들린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연에 아랴 아하 에헤 아하 마쪽으로3) 안들려 배가 아하 에헤 아하 마쪽으로 시게 눌러! 아하 마쪽으로 시게 눌르라고 배가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잘 내려간다! 아하 에헤 아하 괴탕좀 댕겨라!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잘 내려간다! 아하 에헤 아하 조끔만 더 낼쿠면 된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새쪽이4) 안들래! 아하 새쪽을 시게 눌러요!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에헤 아하 어헤 아하 에헤 아하 자아 아하 자 이젠 다 낼퀐다! 아하 1)연에 아리야 : 연속해서 아랫쪽이야. 배가 똑바로 내려가게 하기 위해 방향을 잡아주는소리. 2)괴탕 : 배를 내릴때 밑에다 받침으로 대는 것. 괴탕을 대고 나무로 만든 든대가락으로 지렛대와 같이 움직여서 내린다. 3)마쪽으로 : 남쪽으로(오른쪽으로). 4)새쪽이 : 북쪽이(왼쪽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