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줌치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양군 서면 오색리 가라피의 줌치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탁숙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탁숙녀 |
지역개관 | 오색리는 한계령 바로 밑의 오색약수 관광단지 안에 자리잡은 마을이다. 오색약수가 있는 곳은 2리이고 이곳 가라피는 1리로 한계령에서부터 양양쪽으로 2리, 1리로 위치한다. 마을은 오가리에서 행정개편으로 오색리가 되었으며 가라피, 구라우, 관대문, 마산, 한바우(백암)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마을의 주요 성씨는 남원 양씨, 탁씨, 진씨 등이고 그 외는 각성바지가 모여 살며, 현재 78가구에 300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 중에서 토박이는 20가구 정도이고 나머지는 관광지가 되면서 사방에서 몰려온 사람들이다. 마을사람들은 워낙에 경작지가 넓지 않기 때문에 토박이 20여 가구만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을 뿐 나머지는 산에서 약초나 산나물 등을 채취하여 생업을 이어가고, 몇 가구는 관광객을 상대로 상업에 종사한다. 논이나 밭은 매네미골, 박달골, 다리골, 천석골 등에 있다. 주요 농산물은 찰옥수수이고, 그 외에 감자 등을 심는다. 그리고 산에서 채취하는 송이버섯, 산채 등과 특수작물인 장뇌가 주요 소득원이다. 예전에는 평야지역에 땅을 가진 부자가 이곳에 많이 살아서 가을이면 소작농들이 황소등에다 소작료를 싣고 사방에서 몰려왔다고 한다. 동제는 가라피와 한바우에서 해마다 3월 3일과 9월 9일에 지내고 있다. 가라피는 서낭당에 신목을 모시고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지고 대신에 당집을 지어 놓았다. 제물은 소머리를 쓰다가 1-2년 전부터는 주과포만 가지고 가고, 책임을 맡은 제수가 동네사람들 소지를 올려준다. 제물비용은 마을사람들이 산에서 얻은 소득원으로 공동기금을 마련하여 그 돈으로 충당하고 있다. 한바우는 큰 바위밑에서 동네제사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2월 8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 가라피에서 채집한 줌치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탁숙녀가 참여하였다. |
가사 | 개천이라 한바다는 절로 솟은 노송낭그1)
가지로 치면 열두 가지요 잎으로 치면은 삼백 잎에 그 가지에 무신 열매 열렸더냐 해과 달이 열렸더라 해는 따서 겉 받치고 달은 따서 안 받치고 큰 별은 따서 상침 놓고2) 잰 별은 따서 중침 놓고3) 쌍무재기4) 수를 둘러 외무재기 끈을 뀌서 서울에 장에를 팔러 가니 이 주머니는 누가 짓소 서울아가씨 내가 짓소 이 주머니 지은 사람 은을 주려 금을 주려 은도 돈도 다 싫어요 백년책원5) 날과 살세 객사 청춘 유색시냐6) 나귀 매던 버들인가 녹수진경 넓은 들에 임 댕기던 질일런가 임 댕겐 질에는 풀이 나고 술 먹던 잔에 녹이 씰코 앉어 생각 누워 생각 임에 생각만 절로 나네 1)노송낭그→노송나무: 측백나무과에 속하며 잎이 작은 바늘 모양으로 빽빽히 난다. 2)상침: 좋은 바늘. 3)중침: 굵지도 가늘지도 않은 중간정도의 바늘. 4)쌍무재기→쌍무지개. 5)백년책원: 한 번 만나면 백년동안 변함없이 사는 관계, 즉 부부를 말함. 백년처군(百年妻君)이라고도 함. 6)객사청청유색신(客舍靑靑柳色新). 나그네가 거처하는 집 앞에 푸른 버들 빛이 새롭다는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