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새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양군 서면 오색리 가라피의 새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탁숙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탁숙녀 |
지역개관 | 오색리는 한계령 바로 밑의 오색약수 관광단지 안에 자리잡은 마을이다. 오색약수가 있는 곳은 2리이고 이곳 가라피는 1리로 한계령에서부터 양양쪽으로 2리, 1리로 위치한다. 마을은 오가리에서 행정개편으로 오색리가 되었으며 가라피, 구라우, 관대문, 마산, 한바우(백암)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마을의 주요 성씨는 남원 양씨, 탁씨, 진씨 등이고 그 외는 각성바지가 모여 살며, 현재 78가구에 300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 중에서 토박이는 20가구 정도이고 나머지는 관광지가 되면서 사방에서 몰려온 사람들이다. 마을사람들은 워낙에 경작지가 넓지 않기 때문에 토박이 20여 가구만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을 뿐 나머지는 산에서 약초나 산나물 등을 채취하여 생업을 이어가고, 몇 가구는 관광객을 상대로 상업에 종사한다. 논이나 밭은 매네미골, 박달골, 다리골, 천석골 등에 있다. 주요 농산물은 찰옥수수이고, 그 외에 감자 등을 심는다. 그리고 산에서 채취하는 송이버섯, 산채 등과 특수작물인 장뇌가 주요 소득원이다. 예전에는 평야지역에 땅을 가진 부자가 이곳에 많이 살아서 가을이면 소작농들이 황소등에다 소작료를 싣고 사방에서 몰려왔다고 한다. 동제는 가라피와 한바우에서 해마다 3월 3일과 9월 9일에 지내고 있다. 가라피는 서낭당에 신목을 모시고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지고 대신에 당집을 지어 놓았다. 제물은 소머리를 쓰다가 1-2년 전부터는 주과포만 가지고 가고, 책임을 맡은 제수가 동네사람들 소지를 올려준다. 제물비용은 마을사람들이 산에서 얻은 소득원으로 공동기금을 마련하여 그 돈으로 충당하고 있다. 한바우는 큰 바위밑에서 동네제사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2월 8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 가라피에서 채집한 새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탁숙녀가 참여하였다. 앞부분에 새이름이 나열되는 것을 제외하면 다른 지역의 종근 종금 종금새야와 같은 형태다. |
가사 | 삼월이라 삼실날에는1)
날에기 날짐승 길에기 길짐승 온갖 짐승이 날아든다 높은 산에는 궁궁새냐 낙락장송엔 꾀꼬리새냐 천질만질 호랑새냐 말 못하는 벙어리새냐 눈 어둡다 소경새냐 안팍곱새 등곱새냐 꺼불럭껍적에 할미새냐 방앗간안에는 덩덕새냐2) 덤불 밑에는 화덕새냐3) 안반 밑에는 넙덕새냐 물새란 놈은 요졸졸졸 까치란 놈은 꽤구덕 땍 쟁끼란 놈은 꼬꾸닥 땍 새야 새야 무슨 새냐 청춘에 죽으네 과부새다 이산에 가서 훨훨 저산에 가서 활활 동대문으루 들어가지구 남대문으루 나오실 적에 보면조가리4) 입에다 물고 이름 성명을 씨구 왔네 너에 새이름의 무엇이냐 청춘에 죽었네 과부새요 귀양새요5) 원앙새요 새야 새야 귀양새야 워디메 가서 자구 왔느냐 귀야멩당을 다 날어들어서 칠성방에서 자구 왔다 무신 자릴 깔었더냐 꽃자리를 깔었더라 무슨 이불을 덮었더냐 원앙금침 잣이불을 허리만침에 던져주고 배꽃같은 놋요강을 발치대 마둥에 던져 놓고 자한치여 두동비개를 머리만침에 던져 놓고 무신 밥을 지었디냐 씰코 씰어 은백미다6) 외씨같은 입쌀에다 앵두같은 팥을 삶고 오복소복에 담었더라 무신 반찬을 해서 놨디 올러갔다 올고사리 내러갔다 늦고사리 뚝뚝 꺾어 활나물에 한푼 두푼 돈나물에 너불 너불 미역나물 돌어가는 도라지나물 오복소복에 담았더라 앞집에 가서 목그를 닷죽 뒤집에 가서 사그 닷죽 집에 것 닷죽 열닷죽을 읃어다가 굵은 고긴 토막치고 땡 잰고기는 뻬 발려서 원앙새 반찬 귀양새 반찬 과부새 반찬 다 해 놨어요 덤데기라고 하며 방앗간에서 덤데기를 뒤집어 쓴 것을 표현. 3)화덕새냐 : 가창자의 말로는 덤불이 불이 잘붙기 때문에 화덕새라 했다고 한다. 4)보면조가리 : 얇고 흰 무명천조각. 5)귀양새 : ? 6)은백미 : 하얀 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