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말머리잇기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양군 현북면 원일전리 웃말의 말머리잇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순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순녀 |
지역개관 | 원일전리는 아래대장골, 웃대장골, 문안골, 덕박골, 큰골, 연어골, 불당골, 곤주골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고, 즘버덩(무쇠공장이 있었음), 정문버덩, 수럭자리, 대정골버덩, 잿벷양지버덩, 느릅들 등에 논이 있어 주민들은 논농사 중심으로 농사를 짓는다. 옛날에 원일이라는 사람이 들어와 밭을 일구어서 원일전리라 부르게 되었다고도 한다. 마을에 제일 먼저 들어온 성씨는 함씨라고 하나 지금은 2가구만 남아있고, 비슷한 시기에 들어왔다는 밀양 박씨가 집성촌을 이루어 지금도 총 52가구 130여 명 중에 40가구가 밀양 박씨이다. 마을 사람들은 논농사 외에 9월~10월에 생산하는 송이 채취가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동제는 마을의 여서낭당에서 해마다 정월 초정일(初丁日)에 서낭제사를 지낸다. 제물비용은 마을공동 정미소와, 공동으로 채취하는 송이산에서 나오는 자금으로 제물비용을 마련한다. 설날부터 시작하여 보름까지 만두를 빚어 손님을 접대하는 국적계가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2월 2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북면 원일전리 웃말에서 채집한 말머리잇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순녀가 참여하였다. |
가사 | 뒷집 영감 섶1) 실러 가세
배가 아퍼 못가겠네 뭔 배 자래배2) 뭔 자래 에미자래 뭔 에미 서울에미 뭔 서울 탑서울 뭔 탑 진주탑 뭔 진주 고로진주3) 뭔 고로 쇠고로4) 뭔 쇠 하늘쇠5) 뭔 하늘 청하늘 뭔 청 대청 뭔 대 왕대 뭔 왕 임금왕 뭔 임금 나라임금 뭔 나라 되나라 뭔 되 쌀되 뭔 쌀 보리쌀 뭔 보리 갈보리 뭔 갈 떡갈 뭔 떡 개떡 뭔 개 사양개 뭔 사양 꿩사양 뭔 꿩 장꿩 뭔 장 송장 (“다 했소... 아이 그것만 내가 안 잊어먹고 다 잊어먹었어..”) 1)섶 : 울섶. 울타리를 만드는데 쓰이는 잎나무, 풋나무, 물거리 따위의 섶나무. 2)자래배→자라배 : CD 2-15 참조. 3)고로진주 : ? 4)쇠고로 : ? 5)하늘쇠→하늘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