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밭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양군 현북면 법수치리 본말의 밭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주기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주기 |
지역개관 | 법수치리는 어성전리에서 비포장도로로 계곡을 따라 10㎞ 정도 올라간 곳에 자리한 깊은 산골마을이다. 해발 1280m의 매복산(음복산)이 마을 위쪽에 자리하고, 이곳에서 흘러내리는 계곡이 마을을 가로질러 어성전으로 흐른다. 계곡을 따라 아래에서 부터 소나들이, 토골, 너르버덩, 본말, 팥반무기, 구라우골, 광불동이 있고 합씨골을 경계로 명주군 연곡면 삼산리(부연동 가마소)와 인접해 있어 명주군과 경계를 이룬다. 이들 자연마을에 살던 사람들은 거의 떠났고 지금은 통털어서 1개리, 1개반의 행정구역으로 형성되어 13가구에 70여 명이 살고 있다. 주요 성씨는 15대째 내려오는 김영 김씨로 예전에는 15가구정도 있었으나 대부분 떠났고 현재 김해 김씨, 강릉 김씨 등이 살고 있다. 10년 전에 마을에 도로가 생겼으며 전기가 들어 온 것은 9년째이다. 마을사람들의 주요 소득원은 소를 키우는 것이며, 약간의 농사 외에 약초와 송이, 느타리, 표고 등의 버섯 채취와 뱀을 많이 잡는다. 마을에는 전교생 일곱명인 현성초등학교 법수치 분교가 있다. 동제는 해마다 정월 초정일과 팔월 초정일에 서낭고사를 지낸다. 취재팀이 현장을 찾았을 때는 마을이장을 비롯하여 동네사람들이 계곡을 찾아 해마다 늘어나는 관광객을 위해 공동화장실을 짓고 있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1월 25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북면 법수치리 본말에서 채집한 밭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주기가 참여하였다. 소 한 마리로 직접 텃밭을 갈면서 부른 소리이다. 아라리를 섞어서 부르기도 했다. |
가사 | 이러! 천히 가자!
이러! 어러 굵은 돌은 넹게 딛고 잔돌은 밀어 딛자 이러! 요놈의 소야 빨리 갈고 여물 먹으러 가자 어치도오 돌아시자 이러! 올러내리지 말고 바루만 가세 이러 이러! 우리 큰 암소야 잘두 가자 어치도오 돌어시자! 이러이러! 이러 아랫슴쪽으로1) 돌어오자 이러! 이러! 이놈으 소야 빨리 가자 이러 이러어! 우리 큰 암소 잘두 가네 이러! 듬벅덤벅 황소걸음으루 이러! 어치도오 이러! 이러 이러어! 어흐! 해는 지고, 천천히 가자! 저문데 빨리 갈고 여물 먹자 이러! 아랫슴쪽으로 돌어만 시자 이러 이러 우리 쇠야 빨리 가세 이러 이러! 눈이 올라나 비가 올라나 억수장마 질란지 이러! 검은 산에 구름이 다 모여든다 이러 이러! 어치도오 이러! 돌어시자 이러! 이러 이러어! 어 잘 간다아! 이러! 이러이러! 이러! 우리 큰 암소 잘두 가네 이러 이러! 와하! 와! 와! 인젠 가 여물먹자! 1)아랫슴쪽으로 : 아래 밭둑의 안쪽부분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