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운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통나무벌목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양군 현북면 법수치리 본말의 운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주기, 장재식, 김진목, 탁주석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주기, 뒤/장재식, 김진목, 탁주석 |
지역개관 | 법수치리는 어성전리에서 비포장도로로 계곡을 따라 10㎞ 정도 올라간 곳에 자리한 깊은 산골마을이다. 해발 1280m의 매복산(음복산)이 마을 위쪽에 자리하고, 이곳에서 흘러내리는 계곡이 마을을 가로질러 어성전으로 흐른다. 계곡을 따라 아래에서 부터 소나들이, 토골, 너르버덩, 본말, 팥반무기, 구라우골, 광불동이 있고 합씨골을 경계로 명주군 연곡면 삼산리(부연동 가마소)와 인접해 있어 명주군과 경계를 이룬다. 이들 자연마을에 살던 사람들은 거의 떠났고 지금은 통털어서 1개리, 1개반의 행정구역으로 형성되어 13가구에 70여 명이 살고 있다. 주요 성씨는 15대째 내려오는 김영 김씨로 예전에는 15가구정도 있었으나 대부분 떠났고 현재 김해 김씨, 강릉 김씨 등이 살고 있다. 10년 전에 마을에 도로가 생겼으며 전기가 들어 온 것은 9년째이다. 마을사람들의 주요 소득원은 소를 키우는 것이며, 약간의 농사 외에 약초와 송이, 느타리, 표고 등의 버섯 채취와 뱀을 많이 잡는다. 마을에는 전교생 일곱명인 현성초등학교 법수치 분교가 있다. 동제는 해마다 정월 초정일과 팔월 초정일에 서낭고사를 지낸다. 취재팀이 현장을 찾았을 때는 마을이장을 비롯하여 동네사람들이 계곡을 찾아 해마다 늘어나는 관광객을 위해 공동화장실을 짓고 있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1월 25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북면 법수치리 본말에서 채집한 운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주기, 장재식, 김진목, 탁주석이 참여하였다. 이 소리는 김주기 가창자의 집 옆에 있는 밭에서 길이 2m정도의 통나무를 가지고 끈으로 묶어 끌면서 녹음했다. 운재소리를 하면 소리 바람에 나무가 나간다고도 한다. |
가사 | (“에이 저걸 때려야..”)
어이도 또 모여들 와요 어여라 산호 어이도 빨리들 하구서 어여라 산호 간주1) 봐 가주 고향 가야지 어여라 산호 에이도 질고도 어여라 산호 질고도 나가이2) 장대다 어여라 산호 태산같은 두룽대가3) 어여라 산호 옴죽옴죽 떠나는 구나 어여라 산호 세 살 먹은 어린아기가 어여라 산호 걸음바를 타는구나 어여라 산호 용수철을 깔었는가 어여라 산호 올러갔다 내려오는가 어여라 산호 어이도 쫓어가면서 어여라 산호 한 번에 한 치라도 어여라 산호 열 번이면 한 자로다 어여라 산호(댕겨라 댕겨 댕겨) 어이도 누구 누구 어여라 산호(댕겨라 댕겨라 댕게) 누구 모였다고 어여라 산호 정말루 잘들 한다 어여라 산호 어이도 저쪽 나무를 어여라 산호 저쪽 나무 나 쪽으로 어여라 산호 얼매든지 후레 달라고 어여라 산호 진구지 도비가 어여라 산호 내 쪽으로 후레 달라고4) 어여라 산호 어이야 당게 보자 어여라 산호 언제믄 고향 가자 어여라 산호 저것 봐라 너들댄다5) 어여라 산호 어이도 산혼가 어여라 산호야 1)간주→간죠 : 계산, 회계의 일본말. 2)나가이 : 길다의 일본말. 3)두룽대 : 굵고 큰 나무. 4)나무 앞쪽(산에서 아래쪽)에 서있는 써루가 도비에게 나무의 뒷부분을 찍어 당겨서 자신이 서 있는 앞쪽으로 돌려달라는 말. 5)너들댄다 : 산에서 통로를 이용하여 나무를 내려보낼 때 통통 튀면서 내려가는 것을 말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