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오독떼기 외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양양군 현남면 입암리의 논매는소리-오독떼기 외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진탁, 장연급, 이종대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진탁, 뒤/장연급, 이종대 |
지역개관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남면 입암리에서는 입암농요에 참가하고 있는 사람들은 양양군의 제일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현남면 입암리, 원포리, 지경리, 월천리 등지에 거주하는 사람들로 민속예술경연대회에 참가하면서 하나의 팀을 이루었다. 이 중에서 지경리만 바다와 인접하고 있고, 나머지는 강릉~속초를 지나는 도로에서 보았을 때 모두 산쪽으로 들어가면서 각각 위치하고 있다. 대부분의 마을들은 서로 비슷한 환경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전형적인 농촌이며, 지경리도 바다와 인접하고 있으나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거의 없고 대부분 농사를 짓는다. 다만 최근에 해수욕장이 개장되어 여름철에는 동해안의 다른 해안 마을들과 마찬가지로 약간의 관광수입이 있을 뿐이다. 입암리는 갓바우라고 부르는 마을로 현재 80여 가구가 살고 있다. 모두 각성바지가 모여 살며 꼭돌바우, 갓바우, 꽃골(곡골), 천석들 등의 자연마을이 있고 동제는 서낭제사를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2월 9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남면 입암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진탁, 장연급, 이종대가 참여하였다. 논은, 아이짐(초벌)과 두벌은 손으로 매고, 세벌짐은 피사리만 한다. 오독떼기는 아이맬 때와 두벌 맬 때 부르며 먼저 큰노래를 부른 다음에 오독떼기를 부르고 힘이 들면 잡가를 부른다. 쌈을 쌀 때 하는 싸대소리는 아침에 첫 참을 먹을 때, 점심 먹으러 나올 때, 저녁에 마무리할 때 이렇게 하루에 세 번 부른다. |
가사 | <큰노래>
창밖에 누운 소 하이게 아 아 봉학을 에 헤 (동시) 어리시구나 저리시구나 지어졸졸 저리시구에헤야 어리시구나 저리시구나 지어졸졸 저리시구에헤야 어리시구나 저리시구나 지어졸졸 저리시구에헤야 <오독떼기> 지여를 가네1) 지여를 가네, 다 / 담배참이 지여 지여 지여를 가네 돈 실러 가세 돈 실러 가세, 충 / 충주 목계 돈 실 돈 실러 가세 (어리쿵) 충주 목계 돈 실어 놓고, 서 / 서천 개수 술타령 술타령 하세 (어리쿵) 좀두나 좋네 좀두나 좋소이, 노 / 노래소리 좀두나 좋네 좀두나 좋네 (어이쿵) 남산봉학이 죽순을 물고, 하 / 한양성을 굽어보네 굽어보네 (어리쿵) 1) 지여를 가네: 늦어가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