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다복 다복 다복녜야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부모이별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월군 수주면 무릉리 톡실의 다복 다복 다복녜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40717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강원도 > 영월군 |
생산지역 상세 | 수주면 무릉리 톡실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6 , 다복다복다복녜야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부모이별한탄 , 강원특별자치도 , 강원도 , 강원 , 영월군 , 1994 , 1996 , 다복 다복 다복녜야 , 전옥녀 , 독창 , |
실연자 | 전옥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전옥녀 |
지역개관 | 무릉3리는 송골, 우무실, 톡실, 장개뜰, 두릉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서 현재 80여 가구가 살고 있다. 주요 성씨는 원씨, 곽씨, 이씨의 삼성으로 제실이 있으며 절도 삼성 여신장이라 한다. 마을주민들은 대부분 농업에 종사하며 논보다는 밭이 더 많아 수매용으로 콩과 종자옥수수를 재배한다. 동제는 6·25 이후부터 지내지 않는다. 마을에 관광객이 몰려들기 시작한 것은 3년 정도 되었으며 관광객에 의한 수입은 별로 없다. 무릉들 농사놀이로 민속예술경연대회에 참가한 적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7월 17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수주면 무릉리 톡실에서 채집한 다복 다복 다복녜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전옥녀가 참여하였다. 죽은 어머니를 그리는 노래이다. 만당골이라는 지명이 나오는 것과 부뚜막에 볶은 조이 싹틔면은 오마더라는 대목이 들어간 것이 다른 가창자의 노래와 다르다. 친정어머니가 삼 삼으면서 하시는 것을 듣고 배웠다고 한다. |
가사 | 다복 다복 다복녜야
니 어둘로 울민 가나 울어머니 젖줄 바래 만당골로1) 울민 간다 느 어머니 오마더라 부뚜막에 삶은 팥이 싹 틔거든 오마더라 부뚜막에 삶은 팥이 썩기 쉽지 싹 틔겠소 다복 다복 다복녜야 니 어둘로 울민 가나 울어머니 젖줄 바래 만당골로 울민 간다 다복 다복 다복녜야 느 어머니 오마더라 부뚜막에 볶은 조이2) 싹틔거든 오마더라 부뚜막에 볶은 서슥 썩기 쉽지 싹 틔겠소 다복 다복 다복녜야 니 어둘로 울민 가나 울어머니 젖줄 바래 만당골로 울민 간다 다복 다복 다복녜야 느 어머니 오마드라 삼년 묵은 말뼉다구 살 붙어서 짐 실거든 오마더라 삼년 묵은 말뼉다구 썩기 쉽지 살 붙겠소 다복 다복 다복네야 니 어둘로 울민 가나 울어머니 젖줄 바래 만당골로 울민 간다 다복 다복 다복녜야 느어머니 온다드라 삼년 묵은 소뼉다구 살 붙어서 밭 갈거든 오마더라 삼년묵은 소뼉다구 썩기 쉽지 살 붙겠소 다복 다복 다복녜야 니 어둘로 울민 가나 울어머니 젖줄 바래 만당골로 울민 간다 느어머니 온다드라 병푼에에3) 그린 닭이 홰치구선 울고더는 온다더라 병푼에야 그림닭이 홰치기가 쉽겠어요 다복 다복 다복녜야 니 어둘로 울민 가나 울어머니 젖줄 바래 만당골로 울민 간다 1)만당골 : 어머니가 죽어서 묻힌 곳이라고 한다. 2)조이→조 : 조이와 아래의 서슥은 같은 것이라고 한다. 3)병푼→병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