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월군 수주면 도원리 점터의 밭매는소리-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영옥, 김옥선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이영옥, 나/김옥선 |
지역개관 | 도원리는 1리 안뙤내와 2리 점터로 나뉘어져 있고, 안뙤내는 서만이, 말구리, 구룡산, 성안, 큰햇골, 작은햇골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에서 성안과 햇골, 구룡산은 사람들이 모두 떠난 빈 마을이다. 현재 마을에는 54가구에 150여 명이 살고 있으며 대부분 농사를 짓고 있다. 농경지는 논이 60% 정도로 밭보다 조금 더 많고, 황성버덩에 논이 있다. 주요 농산물은 8년째 재배하고 있는 종자용 옥수수와 종자용 벼이다. 동제는 새마을운동 당시 서낭당을 뜯고 그 이후로는 지내지 않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7월 20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수주면 도원리 점터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영옥, 김옥선이 참여하였다. 마을에서 꽤 떨어진 곳에 있는 계곡가 산중턱의 들깨밭에서 녹음했다. |
가사 | 나 : 명주 열대자 궐련1) 두 갑에 집안에 요란이 났는데
눈치없는 저 총각이 목도리 하구 또 왔네2) 가 : 궐련불이나 반짝반짝해 그대 오시는 줄 알았는데 원수놈으 개똥불이야 날 속여준다 가 : 오시라는 그대 당신은 왜 아니나 오시고 오지말라는 궂으네 비는야 줄줄이 온다 가 : 영월영천에3) 수수풍년은 년년이나 지건만 촌색시 시집 가는 풍년은 언제나 지나 가 : 오늘 갈른지 내일 갈른지 사사망중인데 호박줄 박덤불은야 지붕케 올리 닿는다 나 : 저근네 불뼝대4) 끝에 솔개미5) 한쌍이 놀구요 늘어진 나무가지에 꾀꼬리 한쌍이 논다 가 : 시월이 왔다가 갈라면 저 혼재나 가지 알뜰한 우리의 청춘을 왜 디리고 가나 가 : 새끼나 백발은 나뭇단이나 묶으지 인간에 백발은 씰 곳이 없구나 * 이영옥(여, 1924) : 횡성 둔내에서 태어나 스물세살 때 수주로 왔다. 베틀노래, 따북녀, 시집살이노래, 아이어르는소리(풀무소리, 둥기소리), 창부타령, 어랑타령, 각설이타령, 다리세기 등을 불렀다. 1)궐련 : 얇은 종이로 가늘게 말아 놓은 담배. 卷煙. 2)명주 열대자와 궐련 두갑을 집안사람 몰래 이웃집 총각을 주어서 집안에서는 이것이 없어졌다고 요란이 났는데 그 총각이 눈치없이 (명주로)목도리를 하고 나타났다는 말. 3)영월영천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충북 단양군 영춘면의 지명. 4)불뼝대 : 암벽. 5)솔개미→솔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