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월군 중동면 녹전리 유전의 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덕자, 김봉길, 김순녀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덕자, 나/김봉길, 다/김순녀 |
지역개관 | 녹전3리는 유전이라는 마을로 덧재, 도화동, 상유전, 불근병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전에는 마을에 논이 있었지만 모두 밭으로 만들어서 콩, 옥수수, 고추 등을 많이 심고 특히 고추는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영월 신씨가 처음으로 들어와 터를 잡은 뒤에 강릉 최씨가 들어왔다고 하는데 현재 이 두 성씨가 제일 많다. 현재 유전에는 24가구가, 녹전3리 전체에는 70여 가구가 살고 있다. 마을에는 잘 꾸며진 서낭당이 있다. 새마을운동 당시 다른 마을처럼 불태울까봐 마을사람들이 두 명씩 돌아가며 보초를 서서 지켰다고 한다. 이 곳의 서낭은 단종으로 정월대보름에 서낭고사를 지낸다. 정월 열나흗날 제물준비를 하고 밤 10시에 당으로 간다. 제물은 돼지 잡고, 과일, 시루 한 말, 생우메 한 그릇, 그리고 당주집에다 사흘전에 제주를 봉한다. 당주는 두 집이고, 제물은 집에서 익혀 가지고 간다. 예전에는 생기보고 하지만 지금은 순서대로 돌아가며 한다. 소지는 집집마다 대주를 올려주고 또 군대에 간 사람은 특별히 올려주며 마을에 노총각이 있으면 장가가라고 꼭 올려준다. 제물은 동네기금으로 준비하는데 동네기금은 장려콩을 두 말 먹으면 서 말을 갚아 여기에서 온 이자로 마련했다. 장려콩은 처음에 집집마다 한 말씩 걷은 것과 이사오는 사람에게서 한 씩 받았던 것을 모아 마련하였다. 마을에는 서낭계가 있고 책임자는 도유사라 한다. 도유사는 죽을 때까지 맡게 되며, 한 집에 한 명이 계원이 되기 때문에 24가구가 모두 계원이다. 서낭고사는 유전에서만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7월 20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중동면 녹전리 유전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덕자, 김봉길, 김순녀가 참여하였다. 김덕자 가창자는 아라리를 열살 정도에 배워서 삼 삼을 때 많이 불렀다고 한다. 놀 때도 부르고, 산에서 밭을 매면서도 부르고, 꼴을 비러 가거나 나물 뜯으러 다니면서 부르고, 산에서 피나무 껍질을 벗기는 남자들과 아라리를 주고 받은 적도 있다고 한다. |
가사 | 가 : 암달으 서방아 빙아리 애비야1) 니가 울지를 말어라
니가야 울면은 날이 샌다 나 : 산천이 고와야2) 골이를 깊지 쪼그만 여자의 마음이 맘 깊을 손가 가 : 팔모잽이야 메물국죽은3) 오글박짝 끓는데 우리집에 낭군님은 어데를 갈라고 신발을 하나 다 : 간다지 온다지 엄매나 울었소 정기정 마루칸이야 한강수 되었소 나 : 세월아 네월아 오구 가지 말어라 장안에 호걸이 다 늙어진다 가 : 반달겉은 우리 오빠는 대동아 전장을 갔었는데 샛빌겉은 우리 올게가 생과부 됐네 가 : 서양각국에 진칼 찬놈들 니 자랑마라 우리 조선에 독립이 된다면 다 한 가지 된다 가 : 산차지 물차지는 총독부 차지 아니냐 요내 몸 차지는 유정님 차지라 나 : 대관령 서낭님으는 절이나 믿구 살고 여게 앉은 김봉길이는 안늙은이 믿구 삽니다 (웃음) 가 : 울어머니 울아버지가 날 가질 적에 고비 고사리 잡쉈나 고비 고비 고생을 왜 요리 하나 가 : 울어머니 울아버지 날 곱게 키워서 하양 서울 준다더니 하양 서울 못 주거들랑 삼척읍이나 주지 가 : 사발그릇은 깨여지면은 두세쪽이 나지만 삼팔선은 깨여진다면 한덩어리가 된다 1)암달으 서방, 빙아리 애비 : 수탉. 2)흔히 산이 높아야로 많이 부른다. 3)팔모잽이야 메밀국죽 : 팔모잽이는 메밀의 생긴 모양새가 팔모로 생겼다는 데서 나온 말이며 메밀국죽은 메밀쌀을 넣고 얼큰하게 끓인 국물 많은 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