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달아 달아 밝은 달아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월군 중동면 녹전리 유전의 달아 달아 밝은 달아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40720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강원도 > 영월군 |
생산지역 상세 | 중동면 녹전리 유전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6 , 달아달아밝은달아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강원특별자치도 , 강원도 , 강원 , 영월군 , 1994 , 1996 , 달아 달아 밝은 달아 , 김순녀 , 독창 , |
실연자 | 김순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순년 |
지역개관 | 녹전3리는 유전이라는 마을로 덧재, 도화동, 상유전, 불근병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전에는 마을에 논이 있었지만 모두 밭으로 만들어서 콩, 옥수수, 고추 등을 많이 심고 특히 고추는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영월 신씨가 처음으로 들어와 터를 잡은 뒤에 강릉 최씨가 들어왔다고 하는데 현재 이 두 성씨가 제일 많다. 현재 유전에는 24가구가, 녹전3리 전체에는 70여 가구가 살고 있다. 마을에는 잘 꾸며진 서낭당이 있다. 새마을운동 당시 다른 마을처럼 불태울까봐 마을사람들이 두 명씩 돌아가며 보초를 서서 지켰다고 한다. 이 곳의 서낭은 단종으로 정월대보름에 서낭고사를 지낸다. 정월 열나흗날 제물준비를 하고 밤 10시에 당으로 간다. 제물은 돼지 잡고, 과일, 시루 한 말, 생우메 한 그릇, 그리고 당주집에다 사흘전에 제주를 봉한다. 당주는 두 집이고, 제물은 집에서 익혀 가지고 간다. 예전에는 생기보고 하지만 지금은 순서대로 돌아가며 한다. 소지는 집집마다 대주를 올려주고 또 군대에 간 사람은 특별히 올려주며 마을에 노총각이 있으면 장가가라고 꼭 올려준다. 제물은 동네기금으로 준비하는데 동네기금은 장려콩을 두 말 먹으면 서 말을 갚아 여기에서 온 이자로 마련했다. 장려콩은 처음에 집집마다 한 말씩 걷은 것과 이사오는 사람에게서 한 씩 받았던 것을 모아 마련하였다. 마을에는 서낭계가 있고 책임자는 도유사라 한다. 도유사는 죽을 때까지 맡게 되며, 한 집에 한 명이 계원이 되기 때문에 24가구가 모두 계원이다. 서낭고사는 유전에서만 지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7월 20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중동면 녹전리 유전에서 채집한 달아 달아 밝은 달아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순녀가 참여하였다. 달아 달아 밝은 달아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유명하지만 오늘날 실제로 구전되는 것은 여간해서 찾기 어렵다. |
가사 |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월명동천1) 밝은 달아 저게 저게 저 달속에 지수나무2) 백헸구나 지수나무 몇 가지나 벌었던가 삼백가지 벌었더라 금도꾸로 찍어 냉게 옥대패로 밀어가주 초개 삼칸 집을 짓고 양친부모 모세 가주 천년 만년 살고지고 1)月明東天. 2)지수나무→계수나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