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풀써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기타농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원주군 소초면 교항리 독점의 풀써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상진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상진 |
지역개관 | 교황2리는 독을 만들었던 독점, 모래기(사전), 이리실, 논이 백다랭이가 있었다는 백배미, 밤나무정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지치니고개를 넘어가서 있는 마을인 다리목은 교황1리이다. 백배미는 논이 백다래미가 있었는데 일꾼들이 논을 매고 세어보다 하나가 없어서 찾아보니 삿갓밑에 있었다는 설화가 있다. 논이 있는 들은 백배미와 함짝고개이다. 현재 80여 가구가 농사를 짓고 살며 농경지는 밭보다 논이 더 많다. 밭에는 주로 콩을 심고 그 외 옥수수를 심는다. 마을에는 삼봉, 매화산이 있고 치악산이 가까이 있다. 농업용수는 골짜기물을 이용한다. 해주 오씨가 4대째 살고 있으며 동제는 지내지 않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2월 22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원주군) 소초면 교항리 독점에서 채집한 풀써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상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작두로 풀을 썰면서 하는소리이다. 밭에 있던 깻대를 썰면서 녹음했다. 원래는 풀이나 잡목을 닥치는 대로 베어다 썰므로 작두질 할 때 메겨주는 사람이 발디딤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무의 종류나 굵기 등을 소리로 일려주는 것이다. 풀은 7-8월 쇠기 전에 베어서 썰어 두었다가 보리거름 등으로 썼다. |
가사 | 야 개다리 심 올랐다 딛어라
야 무릉담이다1) 안개오짐이다 아 지렝이 갈비다 음달 신거리2) 야 양지에 보추리다3) 십리 못간 재잭이4) 아창 아창 걸어든다 어 잘 든다 어... 어 딛어 어 어 음달 신거리다 어 아 양지에 보추리 야 야아 백당너머 노리개다 아아 에헤 눌렀다 소꼬리뺑5) 어 잘 든다 아 양지에는 보추리 십리 못간 재잭이 아창 아창 걸어든다 오리밖에는 시무나무 십리안에 오리나무 어 잘 든다! 무른담이다! 지렝이 갈비다 어 잘 지렝이 갈비다 야 일시 항시 맘 놓지 말고 연실 우러리다 연실 우러리 들어간다 연해 연실6) 어 잘 든다 야아 노천이여7) 야 홍천 좌천이여 여 잘 든다 어 연해 연신 들어간다 아가리 딱딱 벌려라 열무짐치 들어간다 딛어라 자 들어간다 십리안에 오리나무 방구 꼈다 북나무냐 펄펄 딛어라 들어간다 얼타 잘 딛는다 아따 술 나온다 또 온다 술 먹구서 뚜드려 보자 먼데 사람 또 한 번 보자 또 썰구서 또 보자 얼싸 잘한다 십리 안에는 오리낭구냐 오리낭구가 다 죽었나 북낭구냐 방구꼈다 훌떡 벗다 벚나무냐 펄펄 딛어라 다 나간다 이걸 끌고 무얼 갔냐 술 한잔 먹구 노래 불러 얼타 끄 얼타 어 으이 아 뭣들 해 빨리 디려와 잘 쓴다! 잘 넘어간다 어헐씨구 절씨구 이거 쓸어 무어 하느냐 워 이 심들어 위이! 1)무릉담 : 무른 것이라는 뜻. 2)신거리 : 나무이름. 억세다고 한다. 3)보추리 : 나무이름. 부드럽다고 한다. 4)재잭이 : 자작나무. 5)소꼬리뺑 : 발을 맬 때 쓰는 가는 나무라고 한다. 6)연에연신 : 계속 들어간다는 뜻. 7)노천이여 : 풀을 미처 메기지 못할 때 작두를 딛는 사람에게 밑에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알리는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