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나물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시집살이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원주군 문막면 동화리의 시집살이노래-나물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복남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복남 |
지역개관 | 원주군은 강원도의 남서부에 위치한 군이다. 동쪽은 횡성군·영월군, 서쪽은 경기도 양평군·여주군, 남쪽은 충청북도의 중원군·제천시, 북쪽은 횡성군과 접하고 있다. 군의 총면적은 781.01㎢이고, 1994년말 현재 14,937가구에 인구는 50,995명이다. 행정구역은 9면 146리 553반 452개의 자연마을로 되어 있으며 군청소재지는 원주시 일산동이었는데 1995년 1월 원주시로 통합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2월 15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원주군) 문막면 동화리에서 채집한 시집살이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복남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시집이라구 갔더니 어렵기는
이보다도 더 어려운 집이 또 있을까 시어머니 하시는 말씀이 나물 뜯어 오라고 회초리로 두디리네 헝님 헝님 우리나 삼동세 나물을 갑시다 나물을 갑시다 시어머니 상에는 종지나물을1) 뜯어다가 허벌트레 놓고 시아버니 상에는 엉겅구를2) 뜯어다가 호랭이겉은 시아버니 엉겁을 틀여 놓고3) 냄편에 상에는 무신 나물을 놓까 비병추나물을4) 비벼 놓지 일꾼에 상에는 뭐를 놓나 일꾼에 상에는 가두대기5) 뜯어다 갖춰 놓지 그래다 보니 우리 삼동세는 먹을게 없네 헝님 헝님 우리 헝님 우리는 지칭개나6) 뜯어다가 지칭개국이나 끓여나 먹지 1)종지나물 : 들에 나는 나물 이름이라고 한다. 2)엉겅구→엉겅퀴 : 들에 나며 새순을 나물로 먹을 수 있는데 흰 엉겅퀴는 못 먹고 붉은 엉겅퀴만 먹을 수 있다고 한다. 3)엉겁을 틀여놓고 : 엉겁의 사전적 의미는 끈끈한 물건이 마구 달라붙는 상태를 말하나 여기서는 뒤에 이어지는 사설로 보아서 앞의 엉겅구에 운을 맞추어 부른 것 같다. 4)비병추 →비비추 : 논둑이나 산골짜기에 나는 나물. 맛이 있어서 남편상에 놓는다고. 5)가두대기 : 나물 이름. 6)지칭개 : 산과 들에 나며 어린 새순을 나물로 먹는다. 너무 흔해서 어른 밥상에는 놓을 수가 없으며 맛이 써서 토장국을 끓여야 먹을 수 있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