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메밀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인제군 인제읍 합강리 배터께의 메밀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필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필녀 |
지역개관 | 합강리는 서화리에서 흐르는 소양강과 기린에서 흐르는 내린천이 이 합수하는 지역이라서 합강이라 했으며, 강가에는 합강정이라는 큰 정자가 있었고 그 안에 미륵이 있었다고 한다. 현재 200여 가구에 800여 명의 인구가 살고 있는 큰 마을로 농가는 40가구 정도 된다. 예전부터 그리 넉넉한 편은 못되어서 농사를 짓고 있는 사람들 외에 주로 산에서 약초를 채취하거나 삼판일, 또는 막노동을 해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이 50여 가구가 된다. 농업은 주로 논농사 중심으로 전체의 80% 정도를 차지한다. 마을에는 논이 거의 없고 대부분 강 건너 마을인 덕산리의 덕산들에 논이 있어서 그곳에서 지어 온다. 밭에는 옥수수·감자·콩 등을 조금씩 심을 뿐 다량으로 생산하는 주요 농산물은 거의 없다. 6·25 당시 전쟁의 피해가 극심했던 지역으로 토박이는 20여 가구도 채 되지 않으며, 대부분 수복이후 외지에서 들어온 각성바지들이 모여 산다. 그러나 예전에는 이씨들이 많이 살았다고 하는데 그들이 심었다는 천년 가까이 된 느티나무가 있어 마을에서 신목으로 모시고 해마다 이월 초하루에 느티나무제를 지내고 있다. 마을이장과 노인회장이 주관하여 지내고 있는데 일반 동제와는 조금 다르다. 신목 앞에다 돼지머리, 떡, 메, 잔 등으로 젯상을 마련하여 놓으면 누구든지 개인적으로 와서 돈을 놓고 절을 하며 그 돈으로 제물비용을 충당한다. 이 외에 해마다 10월에 인제군수가 제관이 되어 지내는 합강제가 강가에서 이루어 진다. 합강은 뗏목을 엮어서 출발하던 곳이기도 하며 유명한 리빙스턴교(불근다리)가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2월 5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인제읍 합강리 배터께에서 채집한 메밀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필녀가 참여하였다. 메밀을 심어 수확해서 국수를 만들어 먹이는 메밀노래와 시집식구들이 미워 집을 떠나는 시집살이노래가 결합돼 있다. 시집오기 전 열다섯살 무렵에 할머니들이 명절날 모여서 놀며 하는 것을 듣고 배웠다 한다. |
가사 | 황해도 봉산에 메물을 한 줌 뿌렜더니
무스네 잎이 피었더냐 잎은 동동 절잎이고1) 무슨 꽃이 피었더냐 꽃은 동동 흰꽃이구 무스네 열매가 달렸더냐 열매는 동동 깜장 열매 그렁저렁 지내다 보니 칠팔월이 건듯 됐네 그 추수를 하라 할 제 죽낫은 갈아 손에다 들고 목낫은 갈아 허레다 차고 줌줌이 피어 모아 단단이 묶어다가 마당에다 허집어라 도리깨루 섬을 쳐서2) 치끝에다 춤을 추여3) 우겨방애다4) 골을 깨여 조작방애다5) 뉘를 골라 굵은체를 쳐여 내여 가는체로 놓여 내여 은장안에 드는 칼루 앙금상금 쏠아가주 끓는 물에다 숨을 죽여 이리도 한싹이 저리도 한싹이 단싹이도 한싹이라 사랑방을 열띠레라 시아버지 일어나서 국시를 한 절 잡으시오 안방문을 열띠레라 시어머니 일어나서 국시를 한 절 잡으시오 웃방문을 열띠레라 여우같은 시누연덜 국시 한절 호르레라6) 뒷방문을 열띠레라 고재잡놈7) 일어나서 국시를 한 절 호르레라 그렁저렁 지내다보니 시아버지가 죽었구나 사랑방 차지두 내 차지요 그렁저렁 지내다보니 시어머니가 죽었구나 안방 차지두 내 차지야 그렁저렁 지내다 보니 시누년들두 죽었구나 웃방 차지두 내 차지야 건넨방 문을 열띠리니 고재 잡놈두 죽었구나 뒷방 차지두 내 차지야 초매를 벗어 장삼을 짓고 적삼은8) 벗어 꼬깔을 접고 속옷은 벗어 바랑을 짓고 씨구 씨구 꼬깔을 씨구 입구 입구 장삼을 입구 지구 지구 베랑을 지구 싱9) 되루 가세 싱 되루 가세 낙산사 절로 싱 되루 가세 어라만수 1)절잎 : 줄기 줄기에 가지가 뻗어 나가는 잎을 말한다. 2)섬을 쳐서 : 두드려 털어서. 3)치끝에다 춤을 추여 : 키로 까불러서. 4)우겨방애→연자방아. 5)조작방애 : 디딜방아. 6)호르레라 : 호르르 소리가 나게 먹어라. 7)고재잡놈→고자잡놈 : 남자구실을 뭇하는 남편을 일컫는 것. 8)적삼 : 홑저고리. 9)싱→승(僧).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