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비둘기소리흉내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소리흉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인제군 인제읍 합강리 배터께의 비둘기소리흉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필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필녀 |
지역개관 | 합강리는 서화리에서 흐르는 소양강과 기린에서 흐르는 내린천이 이 합수하는 지역이라서 합강이라 했으며, 강가에는 합강정이라는 큰 정자가 있었고 그 안에 미륵이 있었다고 한다. 현재 200여 가구에 800여 명의 인구가 살고 있는 큰 마을로 농가는 40가구 정도 된다. 예전부터 그리 넉넉한 편은 못되어서 농사를 짓고 있는 사람들 외에 주로 산에서 약초를 채취하거나 삼판일, 또는 막노동을 해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이 50여 가구가 된다. 농업은 주로 논농사 중심으로 전체의 80% 정도를 차지한다. 마을에는 논이 거의 없고 대부분 강 건너 마을인 덕산리의 덕산들에 논이 있어서 그곳에서 지어 온다. 밭에는 옥수수·감자·콩 등을 조금씩 심을 뿐 다량으로 생산하는 주요 농산물은 거의 없다. 6·25 당시 전쟁의 피해가 극심했던 지역으로 토박이는 20여 가구도 채 되지 않으며, 대부분 수복이후 외지에서 들어온 각성바지들이 모여 산다. 그러나 예전에는 이씨들이 많이 살았다고 하는데 그들이 심었다는 천년 가까이 된 느티나무가 있어 마을에서 신목으로 모시고 해마다 이월 초하루에 느티나무제를 지내고 있다. 마을이장과 노인회장이 주관하여 지내고 있는데 일반 동제와는 조금 다르다. 신목 앞에다 돼지머리, 떡, 메, 잔 등으로 젯상을 마련하여 놓으면 누구든지 개인적으로 와서 돈을 놓고 절을 하며 그 돈으로 제물비용을 충당한다. 이 외에 해마다 10월에 인제군수가 제관이 되어 지내는 합강제가 강가에서 이루어 진다. 합강은 뗏목을 엮어서 출발하던 곳이기도 하며 유명한 리빙스턴교(불근다리)가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2월 5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인제읍 합강리 배터께에서 채집한 비둘기소리흉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필녀가 참여하였다. |
가사 | 비둑비둑
뒷집에 가니 비지밥을1) 주는 거를 먹을라니 목이 메서 못 먹겠네 앞집에 가니 흔누데기 주는 거를 입었더니 이가 물어 못입겠네 비둑비둑 자식 죽고 비둑비둑 비둑비둑 영감 죽고 비둑비둑 나 혼자만 남았으니 이 노릇을 어이하나 첫 사나는2) 총에 맞고 둘째 사난 창에 맞고 세째 사난 보래매가3) 찼네 이 노릇을 어이하나 1)비지밥 : 비지는 두부를 만들 때 두유(豆乳)를 짜고 남은 지꺼기. 2)사나→사내. 여기에서는 남편을 말한다. 3)보래매→보라매 : 새끼를 길들여서 새사냥에 쓰는 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