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에헤야 얼러 상사데요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인제군 인제읍 합강리 배터께의 앞니 빠진 수망달아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41207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강원도 > 인제군 |
생산지역 상세 | 상남면 상남리 돌면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7 , 논매는소리 , 에헤야얼러상사데요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강원특별자치도 , 강원도 , 강원 , 인제군 , 1994 , 1996 , 에헤야 얼러 상사데요 , 노덕순 , 정영화 , 변흥복 , 김진영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노덕순, 정영화, 변흥복, 김진영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노덕순뒤/정영화,변흥복,김진영 |
지역개관 | 내린천의 상류지역인 인제군 상남면 상남리 돌면은 원래 홍천군지역이었으나 6·25이후에 인제군으로 편입되었으며 엄달골, 돌면, 도속뜰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상남1리는 상엄수이고, 2리는 하엄수이며, 3리는 방아다리이다. 엄달골은 엄씨가 살아서 붙여진 이름이고, 돌면은 바람이 거세게 불어서 콩같은 돌이 날아다니며 면상을 때린다고 돌면이라 했으며 그리고 고속뜰은 고속바우가 있어서 고소뜰 또는 고속뜰이라 했다. 들은 고속뜰과 엄달골에 있으며 이외의 자연마을로 큰골, 마을앞에 보를 막아서 붙여진 보메기골, 봉이 하나 돌아 나와 있어서 붙여진 도롱봉, 메두피(메를 포획할 수 있도록 만든 것)를 놓았던 메둔지골 등이 있으며 큰골에 2가구, 메둔지골에 5-6가구가 있었으나 지금은 거의 떠났다. 영월 엄씨가 가장 먼저 들어와서 엄달골에 터를 잡았고 홍천 용씨가 여러 집 있었다. 상남4리는 1992년 상남1리에서 4리로 분리가 되었으며 현재 33 가구에 110명이 살고 있는데 이중에서 토박이는 6가구이다. 주민들의 생업은 농업으로 논보다 밭이 더 많아 무·배추 등의 채소류가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시장은 한동안 내촌장을 다니다 방내장이 세다해서 한 두 해 정도 다녔으며 이후에 상남장을 세웠는데 안되었고 군인들이 들어오면서 기린장이 일어나서 지금은 기린장을 다닌다. 예전에 내촌장을 다닐 때에는 행치재를 넘어 솔치, 신내, 아홉싸리를 넘어서 다녔다. 교육권은 기린,홍천, 춘천이며 춘천고등학교를 많이 간다. 38선 이남은 기린까지이며 이곳도 전쟁의 영향을 받아 토박이는 40% 정도로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인제군에서 기린면은 비교적 토박이가 많은 지역에 속한다. 이곳은 뗏목 상류지역으로 여기서 적심을 하면 인제 합강리로 떠내려가 합강리에서 떼를 맨다. 동제는 엄달골(남산)에 남신인 산신을 모시는 산당과 여신을 모시는 서낭당이 따로 있어 함께 지낸다. 양쪽신의 폐백은 한지를 접어서 모시고 있으며 동제인 동네치성은 해마다 9월 9일과 정월 초정일에 정해놓고 지낸다. 그동안 1-2년 정도 못 지내게 해서 빠진 적이 있다. 제물비용은 집집마다 거출하는데 평균 3,000원 정도 걷고 소지는 집집마다 한 장씩 다 올려주며 주로 변흥복씨가 소지를 올려준다. 축은 읽지 않고 제관은 자신이 깨끗하다고 생각되면 모두 올라간다. 생기를 맞추어서 뽑은 도가가 제물준비를 하며 메는 산에 올라가서 짓는다. 당에는 제기가 따로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아침에 올라가서 제물을 준비한다. 9월에는 제주를 봉하고 돼지를 잡았었는데 지금은 제주로 정종을 사다가 쓴다. 시루는 없고 메는 산당, 서낭당 각각 따로 한 그릇씩 짓는다. 정월에는 돼지머리를 사다가 쓰기 때문에 더 간단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12월 7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삼남면 삼남리 돌면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노덕순, 정영화, 변흥복, 김진영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논을 두벌만 매고 끝에는 피만 뽑았다. 아이짐(초벌)은 호미로 매고 두벌 은 손으로 맸으며 소리는 아이짐 맬 때만 헸다. 아이짐은 일꾼 한 사람이 200평 정도 매고 두벌 은 아이보다 피를 알뜰히 뽑아줘야 하기 때문에 100평 정도 밖에 못 맸다고 한다. 아이맬 때는 논에 물을 잘분잘분하게 대고 매며, 두벌에서는 물이 적게 해서 맨 다음에 논에서 물을 빼 잡풀을 말린다. |
가사 | 에헤야 얼러 상사데이요
고시레 (“아 거기다 고시레가 뭔 고시레여? 아 고시래도 해야죠”) 상사데이 한 마디에 고시레가 웬 말이요 에헤야 얼러 상사데이요 상사데이 한 마디에 또 한 배미 넘어가오 에헤야 얼러 상사데이요 사람은 즉어도 목소리는 크네요 에헤야 얼러 상사데이요 상사데이 한 마디에 부썩부썩 매여 가오 에헤야 얼러 상사데이요 막걸리 한 잔에 또 한 배미 넘어가오 에헤야 얼러 상사데이요 상사데이 하다 보니 점심 때가 닥쳐 왔소 에헤야 얼러 상사데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