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정선군 임계면 임계리의 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형녀, 박가무, 배귀연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형녀, 나/박가무, 다/배귀연 |
지역개관 | 임계3리는 양지말, 장성거리, 웃수골, 금방동, 월대골, 밤나무골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마을 사람들은 대부분 농사를 짓고 있는데 농경지는 예전에 논이었던 것을 대부분 밭으로 만들어서 지금은 논보다 밭이 더 많으며 학교앞 성재봉, 도름산밭, 시깃재밭, 불당골밭 등이 있고, 논은 학교 뒤로 있으며 학교뒤논, 월대골논, 장성거레논 등이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 이외에 배추, 무 등의 야채와 황기, 당귀 등의 약초를 심는다. 예전에는 진주 강씨, 함씨, 연안 김씨가 많이 살았으나 지금은 각성바지이다. 동제는 마을에 서낭당이 두 개가 있어 해마다 정월 초하루날 새벽에 서낭고사를 지낸다. 제물은 백설기시루와 삼실과, 육류 등을 쓰며 제물비용은 동네땅인 도가계논 여덟마지기가 있어 그곳에서 나오는 돈으로 충당한다. 도가계는 순수하게 서낭당과 관련된 계로 해마다 섣달 초이튿날 총회의를 하여 여기에서 일년동안의 내역을 결산하고 계수를 뽑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7월 15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임계면 임계리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형녀, 박가무, 배귀연이 참여하였다. |
가사 | 가 : 네날 짚시기1) 육날 미투리2) 신들메3) 짤근 메구선
문경새재 올라가니 한숨만 나네 나 : 행주초마를 착착 접어서 옆에다 끼고 총각낭군 가자할 적에 왜 못 갔나 가 : 우리님에 품안이야 얼마나 좋은지 밥 먹다가 깜짝하여도 꿈에 선몽하네 나 : 무정한 기차야 소리말고 달려라 산란한 이내 몸이 또 산란한다 가 : 신작로 웃두렁같이도 두텁던 정이 풀잎에 이슬같이도 똑 떨어졌네 나 : 봄바람은 솔솔 불어서 쌓인 눈을 녹이고 개구장가에 버들가지는 봄을 재촉하네 가 : 정선 사십리 발구덕4) 십리에 삼삼 한치인데5) 의병 난리에두 피란지로다 나 : 한치 뒷산에 곤드레 딱주기 나지미맛만6) 겉으면 고곳만 튿어 먹어도 봄 살어나겠네 다 : 우리도 살다 아차 한 번 죽어지면 베 한필 돌돌 감아 잣나무 댓가래7) 전나무 연촛대8) 스물넷 상두꾼에 너화넘차 발 맞추어 홍대9) 칠성10) 깔고 덮고 송백목11) 울을 삼고 두견새 벗을 삼아 살은 썪어 물이 되고 뼈는 썪어 흙이 되고 살짝 썪을 인생들 남 들기가 싫은 소리는 부디 하지 맙시다 가 : 니나 내나 죽어지면 겉매끼12) 속매끼 이칠이 십사 열네매끼 찔끈쨀끈 꼭꼭 묶어 노가지나무13) 연촛대에 초롱꾼아 불 밝헤라 상두꾼아 발 맞춰라 어화넘차 떠둘러 미고 북망산천에 가 폭삭 썪을 인생들 남 들기가 싫은 소리는 부디 하지 맙시다 다 : 영감은 할멈 치고 할멈은 아 치고 아는 개 치고 개는 꼬리 치고 꼬리는 마당 치고 마당웃전에 수영버듥은 바람을 휘몰아 치는데 우리집에 서방님은 낮잠만 자네 가 : 산진매냐14) 수진매냐15) 훼훼칭칭 보래매냐16) 절간밑에 풍경 달고 풍경밑에 방울 달아 앞남산 불까투리17) 한 마리 툭 차가지구 저 공중에 높이 떠서 빙글뱅글 도는데 우리집에 저 멍텅구리는 날 안구 돌 줄 몰러 1)네날 짚시기 : 짚신. 보통 날이 네줄이다. 2)육날 미투리 : 미투리는 삼이나 노 따위로 삼은 신. 보통 날이 여섯줄이다. 3)신들메→들메끈 : 신발이 벗어지지 않도록 조여 매는 끈. 4)발구덕 : 정선군 남면 무릉리에 있는 자연마을 이름. 5)한치 : 한치는 큰고개 정도의 뜻을 가진 자연마을 이름으로 아라리 가사에 자주 나온다. 정선군 남면 유평리 한치와 동면 몰운리 한치, 평창군 미탄면 평안리 한치 등이 있다. 6)나지미 : 애인을 뜻하는 일본말. 7)댓가래 : (상여의)채. 상여의 양옆에 길게 댄 굵은 나무. 8)연촛대→연춧대 : 연(輦)이나 상여 등을 멜 때 채 밑에 가로 대는 나무. 9)홍대 : 무덤에서 시신을 광중에 넣은 다음에 그 위에다 덮는 통나무나 널조각. 10)칠성 : 관의 속바닥에 까는 얇은 널조각. 북두칠성을 본따 일곱구멍을 뚫는다. 칠성판. 11)송백목(松柏木). 소나무와 잣나무. 12)겉매끼 : 시신을 묶는 끈. 13)노가지나무→노간주나무. 14)산진매 : 산지니. 산속에서 자라 오랜 해를 묵은 매나 새매. 15)수진매 : 수지니. 사람의 손으로 길들인 매나 새매. 16)보래매→보라매 : 그 해에 난 새끼를 길들여서 사냥에 쓰는 매. 17)불까투리 : 암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