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정선군 임계면 임계리 화성의 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형녀, 박가무, 배귀연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형녀, 나/박가무, 다/배귀연 |
지역개관 | 임계3리는 양지말, 장성거리, 웃수골, 금방동, 월대골, 밤나무골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마을 사람들은 대부분 농사를 짓고 있는데 농경지는 예전에 논이었던 것을 대부분 밭으로 만들어서 지금은 논보다 밭이 더 많으며 학교앞 성재봉, 도름산밭, 시깃재밭, 불당골밭 등이 있고, 논은 학교 뒤로 있으며 학교뒤논, 월대골논, 장성거레논 등이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 이외에 배추, 무 등의 야채와 황기, 당귀 등의 약초를 심는다. 예전에는 진주 강씨, 함씨, 연안 김씨가 많이 살았으나 지금은 각성바지이다. 동제는 마을에 서낭당이 두 개가 있어 해마다 정월 초하루날 새벽에 서낭고사를 지낸다. 제물은 백설기시루와 삼실과, 육류 등을 쓰며 제물비용은 동네땅인 도가계논 여덟마지기가 있어 그곳에서 나오는 돈으로 충당한다. 도가계는 순수하게 서낭당과 관련된 계로 해마다 섣달 초이튿날 총회의를 하여 여기에서 일년동안의 내역을 결산하고 계수를 뽑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7월 15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임계면 임계리 화성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형녀, 박가무, 배귀연이 참여하였다. 원래는 바가지장단이라 해서 물동이에 물을 반넘어 담고 바가지를 엎어놓고 두들겨 장단을 맞추면서 노래를 하는 것인데 여기서는 손으로 술상을 치며 불렀다. 아라리는 이렇게 흥겹게 놀면서도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다 : 너는 날 안구 나는 널 안구 단둘이 꼭 끈안구
낙연폭포1) 돌 굴듯이 달달 굴어보세 가 : 이칸 저칸 삼칸 툇마룽 일월이 빈추기 쉽지 당신은 내 방에 오기가 천만이우로다 나 : 슥세베 도랑초마를 내가 입었을망정 여기 앉은 아저씨들은 내 눈알루 돈다 다 : 개나리 진달래가 만발하거든 가자구 하더니 온 산천이 어우래져도 가잔말이 없네 가 : 여보세요 당신아 야속도 하지야 가자 한 자 모르는 데다가 문안 편지는 왜 했나 나 : 장성거리2) 돌개바람은 화성학교를3) 울리고 교실안에 선생님들은 유리깰까봐 염려라 가,나,다 : 동박기름은 썰썰 발러서 운때4) 나는 저 머리 오복수5) 끝단댕기가 제 멋이로구나 가,나,다 : 고기 잘 무는 논떡 고내기는6) 납떡고7) 밑에 있고 처녀 잘 무는 고내기는 나 요게 있네 가,나,다 : 설게바우8) 노랑차조밭 어는 누가 매 주나 비 오고 날 개는 날이면 단둘이 매루 갑시다 가,나,다 : 담배가 없으면 빈 대나마 빨고 이내 이몸이 없으면 원앙금침을 비어라 1)낙연폭포 : 박연폭포를 말하는 듯. 2)장성거리 : 가창자들이 살고 있는 임계리의 자연마을 이름. 바람이 아주 매서워 사람이 얼어죽은 일이 있었으며, 이후에 장승을 세워서 장성거리(장승거리)라 불렀다고 함. 3)화성학교 : 가창자의 마을에 있는 초등학교. 한 때는 전교생이 400여명이나 되었으나 지금은 40여명으로 분교가 되었다고 함. 4)운때 : 윤기. 5)오복수 : 숙소갑사(熟素甲紗). 누인(잿물에 삶아 물에 빨아서 희고 부드럽게 한)명주실로 짠 품질이 좋은 얇고 성긴 비단. 분홍, 자주, 빨간색 등 색깔이 있다고 함. 6)논떡고내기 : 고내기는 미끼를 말함. 논떡 고내기는 낚시 미끼로 쓰이는 벌레이며 큰 지네처럼 생겼다고 함. 7)납떡고 : 납작한 돌덩이. 8)설게바우 : 정선군 남면 한치에 있는 자연마을 이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