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어디까지 갔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정선군 임계면 임계리 화성의 어디까지 갔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가무, 배귀연, 김형녀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가무, 뒤/배귀연, 김형녀 |
지역개관 | 임계3리는 양지말, 장성거리, 웃수골, 금방동, 월대골, 밤나무골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마을 사람들은 대부분 농사를 짓고 있는데 농경지는 예전에 논이었던 것을 대부분 밭으로 만들어서 지금은 논보다 밭이 더 많으며 학교앞 성재봉, 도름산밭, 시깃재밭, 불당골밭 등이 있고, 논은 학교 뒤로 있으며 학교뒤논, 월대골논, 장성거레논 등이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 이외에 배추, 무 등의 야채와 황기, 당귀 등의 약초를 심는다. 예전에는 진주 강씨, 함씨, 연안 김씨가 많이 살았으나 지금은 각성바지이다. 동제는 마을에 서낭당이 두 개가 있어 해마다 정월 초하루날 새벽에 서낭고사를 지낸다. 제물은 백설기시루와 삼실과, 육류 등을 쓰며 제물비용은 동네땅인 도가계논 여덟마지기가 있어 그곳에서 나오는 돈으로 충당한다. 도가계는 순수하게 서낭당과 관련된 계로 해마다 섣달 초이튿날 총회의를 하여 여기에서 일년동안의 내역을 결산하고 계수를 뽑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7월 15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임계면 임계리에서 채집한 어디까지 갔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가무, 배귀연, 김형녀가 참여하였다. 길을 가면서 한명이 눈을 감고 묻고 다른 사람이 대답하는 놀이다. 아이가 등에 업혀서 갈 때 눈을 감고 주고 받기도 하고, 아이들이 밖에 나간 사람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며 부르기도 한다. |
가사 | 어디꺼진 갔나 / 안죽 안죽1) 멀었다
어디꺼진 갔나 / 안죽 안죽 멀었다 (반복) 삼십리를 가도 / 안죽 안죽 멀었다 사십리를 가도 / 안죽 안죽 멀었다 어디꺼진 갔나 / 안죽 안죽 멀었다 어디꺼지 갔나 / 안죽 안죽 멀었다 어디꺼지 갔나 / 장성거레 왔다 어디꺼지 왔나 / 학교께 왔다 어디꺼지 왔나 / 우리직께2) 들어온다 어디꺼지 왔나 / 울다리밑에 들어온다 어디꺼지 왔나 / 처망 밑에 왔다 어디꺼지 왔나 / 방안에 들어왔다 눈 떠라 “다 왔네!“ 1)안죽→아직. 2)우리직께: 우리집 근처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