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정선군 동면 석곡리 돌목의 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유영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유영찬 |
지역개관 | 석곡 2리는 상돌목(상석항), 하돌목(하석항)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행정구역으로는 5개 반으로 되어 있다. 예전에는 117가구까지 살았던 마을이나 다 떠나고 현재는 54가구에 약 320-30명이 살고 있으며 대부분 농사를 짓는다. 논이 있어 벼농사 이외에도 밭에다 무·배추·고추 등을 재배하는 것이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7월 14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동면 석곡리 돌목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유영찬이 참여하였다. |
가사 | 나뭇가지에 앉은 새는 바람이 불까 염려요
당신하고 나하구는 정 떨어질까 염려라 당신이 내 속 썪는 걸 요다지도 모르거든 앞남산 봄 눈 썪는 걸1) 건너다가 보세요 시집 가구야 장개 갈 적에 홀기는 왜 불러2) 맘에 있고 뜻만 맞으면 팽상해로 하지요 월미봉 살구나무도 고목이 덜컥 진다면 오던 새 꽃나비두 되로 돌어간다 높은 산 상산말랑에3) 단독이나4) 소나무 그 나무도 날과 같이두 외로이만 섰네 술 잘 먹느네 김선달이가 술을 못 먹어 죽었나 돈 잘 쓰는 이태백이가 돈을 못 써 죽었나 1)봄 눈 썪는: 봄 눈이 쉽사리 녹아버리는 것을 썪는다고 표현함. 2)홀기: 옛날식으로 혼인할 때 순서를 적은 것. 홀기를 보고 외치는 것을 홀기 부른다고 한다. 3)상산말랑: 산 꼭대기. 4)단독이나: 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