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꽁꽁 꽁스방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정선군 동면 몰운리의 꽁꽁 꽁스방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순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순철 |
지역개관 | 몰운리는 한치, 가키골, 갈게골, 되기, 들미골, 버들골, 삼탈, 제동, 금지기재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고, 주민들 대부분은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다. 최근에는 동면에 국민관광단지가 조성되면서 몰운대와 광대골을 찾는 관광객이 늘고 있으며 대부분의 마을들이 노인들만 남아 있는데 비해 이 지역은 아직도 젊은 사람들이 많다. 동제는 해마다 정월대보름 새벽 4시에서 5시 사이에 서낭고사를 지낸다. 제관은 생기 맞는 사람을 뽑고, 제물은 제설집이 준비하며 일주일 전에 금줄을 친다. 서낭당은 스레트지붕에 스레트와 양철로 벽을 대신하고 안에는 한지를 접지 않고 그대로 걸어서 폐백을 하였다. 문은 양철문으로 정면이 동쪽을 향하고 있으며 앞으로 마을이 보인다. 당의 마당에는 큰 버드나무 두 그루가 서 있다. 이 외에 마을에서 지내는 기우제는 외며느리 셋이 산위에 있는 우물에 가서 물을 떠오면 마당 가운데에 보섶을 거꾸로 엎어놓고 속옷을 입힌 다음에 떠온 물을 지붕에 뿌리고 물장구를 치며 야단이라고 한다. 삼복에는 복제사를 지내는데 간단하게 집에서 전(부치기)을 부쳐 밭과 논으로 가지고 가 사방으로 던지며 “고시레”를 외치고 절을 두 번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7월 13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동면 몰운리 한치에서 채집한 꽁꽁 꽁스방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순철이 참여하였다. |
가사 |
꽁꽁 꽁스방 자네집이 어덴가 이산 저산 넘어서 덤불밑이 내 집일세 멀구 다래 따먹다 불알에 홀캐 죽었네 자네 장사 언젠가 칠월칠월 칠석일세 (“이러지 뭐 아하하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