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정선군 남면 무릉리 능전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홍동주, 상두꾼(20여명)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홍동주 뒤/상두꾼(20여명) |
지역개관 | 무릉2리는 능전, 자고치, 안자고치, 덕만, 싸리실, 쇠골(금곡), 은골(은곡), 발구덕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서 민둥산 바로 밑에 자리잡고 있는 발구덕은 구덩이(분지)가 8개 있어서 팔구덩이라 부르던 것이 발구덕이 되었다고 하는데 300여년 전부터 평해 황씨가 많이 살았고 6·25 당시에도 32가구가 살았으나 민둥산 곳곳에서 성행하던 화전이 정리되면서 모두 떠났고 지금은 2가구가 살고 있다. 능전은 전주 이씨 집성촌으로 지금도 많이 살고 있는데 마을에 전주 이씨가 가장 먼저 들어와서 마을을 개척했다고도 한다. 현재 마을에는 46가구(능전만 20가구)에 170여 명이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다. 논은 없고 밭만 있어서 옥수수·감자·조·콩·메밀 등을 재배했었는데 근래에 와서는 고랭지채소가 주작물이 되고 있다. 예전에 화전민들이 떠나기 전에는 138가구 정도가 있었으며 민둥산의 8부능선까지 모두 화전이었다고 한다. 거의 모든 주민들이 화전으로 농사를 지었는데 일제시대부터 산림속이나 경사가 심한 곳에서부터 화전정리가 시작되어 70년대까지 계속 이어졌다. 동제는 정초에 날을 받아 서낭고사를 지낸다. 제물은 신주를 직접 빚어서 쓰고, 메 한 그릇과 해물, 삼실과, 백설기 한 시루 등과 예전에 닭을 잡아서 쓰던 것을 근래에 와서 돼지머리를 쓰고 있다. 제관은 부부의 생기를 맞추어서 뽑은 당주(제물을 준비하는 사람)가 되고, 한 사람이 축을 읽어 준다. 그리고 부정하지 않은 마을사람들이 당 밖에 모여서 황덕불은 해놓고 함께 참석한다. 동제를 지내기 일주일 전에는 당주의 집과 당에다 금줄을 치며 제를 지낸 다음날에는 동네 사람들이 모두 모여 음복하면서 결산을 본다. 서낭당은 예전에 자연마을마다 있었으며 발구덕은 할머니당과 할아버지당이 따로 있었고 서낭당안에 철마도 있었다. 예전에 어떤 사람이 밤에 서낭당 옆을 지나가다가 흰옷갓을 사람이 아래 서낭당에서 나와 윗서낭당으로 가는 것을 보았다는 이야기가 전해 온다. 마을에는 현재 남면 무릉리에서 동면 몰운리로 이어지는 길을 닦고 있는 중이며 이 길은 카키재를 넘게 되어 있는데 남면 쪽은 이미 포장까지 완료되었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7월 15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남면 무릉리 능전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홍동주 외 상두꾼 20여명이 참여하였다. 고 이주하(남, 1911)씨의 장례식에서 현장 녹음했다. 상두꾼은 모두 스물네명으로 요여 두명, 앞소리꾼 한명, 상요사 한명, 상군 스무명이다. 상요사는 상군들을 총괄 지휘하는 사람으로 마을 이장이 의무적으로 맡는다. 아침 7시부터 상두꾼들이 모여들기 시작하면서 바로 상여를 꾸몄다. 오전 9시 30분경에 상여를 모두 꾸민 상두꾼들이 빈상여를 메고 대돋음놀이를 시작했다. 예전에는 출상전날 밤에 상여를 꾸며서 대돋움놀이를 했으나 근래에는 출상 당일날 아침에 한다고 했다. 선소리꾼이 소리를 메기면 상두군들은 빈상여를 메고 제자리에서 돌며 “나무여 미리미리타불” 소리를 받는다. 상두꾼들이 가끔 장난도 하는 동안에 상주들이 나와서 담배와 봉투 등을 내놓는다. 대돋움놀이가 끝난 다음에는 마당 옆에 있는 토롱에서 관을 내와 상여에 모신 다음 상주들이 제사를 지낸다. 이어서 상군들이 상여를 메고 일어나서 집을 향하여 하직인사를 하고 상주들이 앞에서 맞절한다. 그리고 상여가 출발하는데 소리는 계속 “나무여.”를 부르다가 노제를 지내기 위해 상여를 내려놓기 전에 “너호 너호.”를 부른다. 노제를 지낸 다음에 출발할 때는 다시 “나무여.”를 부르고 상여가 가파른 언덕을 올라갈 때는 “어싸 어싸”로 단순히 힘쓰는소리를 외친다. |
가사 | (“아이고 아이고...”)
나무여 미리미리타불 나무여 미리미리타불 세상천지 만물 중에 나무여 미리미리타불 사람밖에 또 있는가 나무여 미리미리타불 이 세상에 나온 사람 나무여 미리미리타불 뉘 덕으로 생겼는가 나무여 미리미리타불 하나님전 명을 받어 나무여 미리미리타불 제석님전 덕을 빌고 나무여 미리미리타불 석가여래 공덕으로 나무여 미리미리타불 아버님전 뼈를 타고 나무여 미리미리타불 어머님전 살을 타고 나무여 미리미리타불 이내 일신 탄생하니 나무여 미리미리타불 부모은공 못다 갚고 나무여 미리미리타불 애통하고 절통하다 나무여 미리미리타불 너호 너호 너호넘차 너호 너호 너호 어기넘차 너호 너호 너호 너호넘차 너호 너호 너호 어기넘차 너호 너호 너호 너호넘차 너호 너호 너호 어기넘차 너호 너호 너호 너호넘차 너호 너호 너호 어기넘차 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