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정선군 남면 무릉리 능전의 무덤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홍동주, 상두꾼들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홍동주 뒤/상두꾼들 |
지역개관 | 무릉2리는 능전, 자고치, 안자고치, 덕만, 싸리실, 쇠골(금곡), 은골(은곡), 발구덕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서 민둥산 바로 밑에 자리잡고 있는 발구덕은 구덩이(분지)가 8개 있어서 팔구덩이라 부르던 것이 발구덕이 되었다고 하는데 300여년 전부터 평해 황씨가 많이 살았고 6·25 당시에도 32가구가 살았으나 민둥산 곳곳에서 성행하던 화전이 정리되면서 모두 떠났고 지금은 2가구가 살고 있다. 능전은 전주 이씨 집성촌으로 지금도 많이 살고 있는데 마을에 전주 이씨가 가장 먼저 들어와서 마을을 개척했다고도 한다. 현재 마을에는 46가구(능전만 20가구)에 170여 명이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다. 논은 없고 밭만 있어서 옥수수·감자·조·콩·메밀 등을 재배했었는데 근래에 와서는 고랭지채소가 주작물이 되고 있다. 예전에 화전민들이 떠나기 전에는 138가구 정도가 있었으며 민둥산의 8부능선까지 모두 화전이었다고 한다. 거의 모든 주민들이 화전으로 농사를 지었는데 일제시대부터 산림속이나 경사가 심한 곳에서부터 화전정리가 시작되어 70년대까지 계속 이어졌다. 동제는 정초에 날을 받아 서낭고사를 지낸다. 제물은 신주를 직접 빚어서 쓰고, 메 한 그릇과 해물, 삼실과, 백설기 한 시루 등과 예전에 닭을 잡아서 쓰던 것을 근래에 와서 돼지머리를 쓰고 있다. 제관은 부부의 생기를 맞추어서 뽑은 당주(제물을 준비하는 사람)가 되고, 한 사람이 축을 읽어 준다. 그리고 부정하지 않은 마을사람들이 당 밖에 모여서 황덕불은 해놓고 함께 참석한다. 동제를 지내기 일주일 전에는 당주의 집과 당에다 금줄을 치며 제를 지낸 다음날에는 동네 사람들이 모두 모여 음복하면서 결산을 본다. 서낭당은 예전에 자연마을마다 있었으며 발구덕은 할머니당과 할아버지당이 따로 있었고 서낭당안에 철마도 있었다. 예전에 어떤 사람이 밤에 서낭당 옆을 지나가다가 흰옷갓을 사람이 아래 서낭당에서 나와 윗서낭당으로 가는 것을 보았다는 이야기가 전해 온다. 마을에는 현재 남면 무릉리에서 동면 몰운리로 이어지는 길을 닦고 있는 중이며 이 길은 카키재를 넘게 되어 있는데 남면 쪽은 이미 포장까지 완료되었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7월 15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남면 무릉리 능전에서 채집한 무덤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홍동주 외 상두꾼들이 참여하였다. 앞의 상여소리에 이어 회다지 현장에서 녹음했다. 회는 연춧대나 나무막대를 들고 모두 세켜를 다진다. 한 켜와 두 켜는 여섯명이 들어가서 다지고 마지막 세 켜는 여덟명이 다지며 봉분은 다지지 않는다. |
가사 | 오허어 달구여
오허어 덜구야 선천지 후천지는1) 오허어 덜구야 억만세계 무궁이다 오허어 덜구야 산지조종 곤륜산이요2) 오허어 덜구야 수지조종 황하수라3) 오허어 덜구야 곤륜산 일지맥에 오허어 덜구야 조선이 생겼으니 오허어 덜구야 백두산이 주산이요4) 오허어 덜구야 한라산이 안산이라5) 오허어 덜구야 두만강이 청룡되고 오허어 덜구야 압록강이 백호로다 오허어 덜구야 오허 달회 오허 달회 등 맞추구 배 맞춰요 오허 달회 일시에 놓고 일시에 들어 오허 달회 먼데 사람 들기 좋고 오허 달회 젙에 사람 보기 좋게 오허 달회 종종회를6) 다여보세 오허 달회 종종회를 잘 다으면 오허 달회 이산 명기7) 돌아오고 오허 달회 천수목근8) 면한다네 오허 달회 강원도 금강산은 오허 달회 세계명산 되였구나 오허 달회 이 산소터 잡을 적에 오허 달회 누구 누구 잡었든가 오허 달회 도선이9) 박상하고 오허 달회 무학이 잡을 적에 오허 달회 지남철을 손에 들고 오허 달회 윤두판을10) 앞에 놓고 오허 달회 좌향11) 놓고 안배12) 놀 제 오허 달회 임자계축 갑인갑묘 오허 달회 을진선사 병오정미 오허 달회 운신경유 신술근해 오허 달회 득수득파13) 어떻든가 오허 달회 사대국보 법을 펴니 오허 달회 대과할 득법이요 오허 달회 우손포태 역수하니 오허 달회 부귀공명 수득이라 오허 달회 좌청룡 되였으니 오허 달회 자손 번성 할 것이요 오허 달회 우백호 되였으니 오허 달회 외손 번성 할 것이요 오허 달회 앞에 주춤 노적봉은 오허 달회 거부장사 날 것이요 오허 달회 뒤에 주춤 문필봉은 오허 달회 문장재사 날 것이요 오허 달회 일산봉이14) 비췄으니 오허 달회 수령방백 날 것이요 오허 달회 투구봉이 비췄으니 오허 달회 대대장군 나리로다 오허 달회 저 건네 저 첨지야 오허 달회 이 건너 이 첨지야 오허 달회 오조밭에15) 새 들었네 우여! 1)先天地 後天地. 2)山之祖宗 崑崙山. 3)水之祖宗 黃河水. 4)主山. 5)安山 : 집터나 묏자리의 맞은편에 있는산. 6)종종회 : 회다지를 막바지에 빨리 다지는 것을 말한다. 7)明氣. 맑고 아름다운 산천의 기운. 8)나무뿌리로 연명하는 삶을 말하는 듯. 9)道詵. 신라말기의 중. 우리나라 풍수사상의 원조격으로 일찌기 왕건의 탄생과 그의 건국을 예언하였다 한다. 10)윤두판 : 지금의 나침판을 말하는 듯. 11)좌향 : 坐向. 묏자리나 집터 따위의 등진 방위에서 정면으로 바라보이는 방향. 12)按排. 알맞게 잘 배치함. 13)得水得破. 풍수지리에서, 산 속에서 나와 산 속으로 흐르는 물을 일컫는 말. 묘지에서 보아서 처음 보이는 지점을 득수, 나중에 보이는 지점을 파문이라 함. 14)일산봉 : 알성봉(謁聖峯)? 15)오조 : 다른 조보다 일찍 익는 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