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정선군 남면 무릉리 멀미의 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봉출, 홍동주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최봉출, 나/홍동주 |
지역개관 | 정선군은 강원도 남동부에 위치한 군이다. 동쪽은 동해시와 삼척군, 서쪽은 평창군, 남쪽은 영월군, 북쪽은 명주군과 평창군에 각각 인접하고 있다. 군의 총면적은 1,200.58㎢이고, 1995년말 현재 18,203가구에 인구는 61,121명이다. 행정구역은 4읍 5면 193리 1227반 481개의 자연마을로 되어 있으며 군청소재지는 정선읍 봉양리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7월 14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남면 무릉리 멀미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봉출, 홍동주가 참여하였다. |
가사 | 가 : 미창 아리쪽1) 서천 명월아2) 술 한잔 부어라
오복수3) 돈지갑에 돈 쏟아진다 나 : 변부기4) 산등에 이밥취 곤드레5) 내 연설을 들어라 총각낭군을 만날라거든 해연년이 나게 가 : 밥 한냄비를 달달 긁어서 간난아 아버지 디리고 간난이하고 나하고는 지녁을 굶어 자자 나 : 월미봉 살구나무도 고목이 덜컥 진다면 오든 새 그 나비도 되돌아 간다 가 : 아침지녁에 돌아가는 구름은 산 끝에서만 자는데 예화 이제 흐르는 물은 돌뿌리에서 운다 나 : 삼신산6) 불로초도 풀은 풀이 아니냐 하룻밤만 자구 가도 임은 임이로다 가 : 산진매냐7) 수진매냐8) 휘휘칭칭 보래매냐9) 절간 밑에 풍경 달고 풍경 밑에 방울 달어 앞남산 불까투리10) 한 마리 툭 차가지구 저 공중에 높이 떠서 빙글뱅글 도는데 우리댁에 저 멍퉁이는 날 안구 돌 줄 몰러요 나 : 네 칠자나 내 팔자나 네모반듯한 왕골방에 샛별같은 놋요강을 발치만큼 던져 놓고 원앙금침 잡벼개에11) 꽃같은 너를 안고 잠자 보기는 오초강산 일 글렀으니 멍틀멍틀 장석자리에12) 깊은 정 드자 1)미창 아리쪽→미창 아래쪽 : 미창은 정선에서 영월쪽으로 2㎞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지명. 2)서천 명월 : 서천은 미창 남쪽에서 흐르는 물이고, 명월은 이곳 주막에서 술을 팔던 여자라고 함. 3)오복수 : 숙소갑사(熟素甲紗). 누인(잿물에 삶아 물에 빨아서 희고 부드럽게 한)명주실로 짠 품질이 좋은 얇고 성긴 비단. 4)변부기 : 정선군 남면 유평리 한치에 있는 산 이름. 5)이밥취 곤드레 : 산나물 이름. 6)삼신산 : 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봉래산(蓬來山)·방장산(方丈山)·영주산(瀛州山)의 세 산. 동해에 있다 하며, 진시황과 한무제가 동남 동녀 수천 명을 보내어, 불로불사약(不老不死藥)을 구하였다는 이야기가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금강산과 지리산, 한라산을 이름. 7)산진매 : 산지니. 산속에서 자라 오랜 해를 묵은 매나 새매. 8)수진매 : 수지니. 사람의 손으로 길들인 매나 새매. 9)보라매 : 그 해에 난 새끼를 길들여서 사냥에 쓰는 매. 10)불까투리 : 암꿩. 11)잡벼개→잡베개 : 둘이 베는 베개. 12)장석자리 : 짚을 결어 길게 만든 자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