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정선군 남면 무릉리 멀미의 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순옥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순옥 |
지역개관 | 정선군은 강원도 남동부에 위치한 군이다. 동쪽은 동해시와 삼척군, 서쪽은 평창군, 남쪽은 영월군, 북쪽은 명주군과 평창군에 각각 인접하고 있다. 군의 총면적은 1,200.58㎢이고, 1995년말 현재 18,203가구에 인구는 61,121명이다. 행정구역은 4읍 5면 193리 1227반 481개의 자연마을로 되어 있으며 군청소재지는 정선읍 봉양리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7월 14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남면 무릉리 멀미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순옥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월미봉 살구나무는 고목이 덜컥 진다면
오는 새 그 나비가 뒤돌아간다 임자 당신은 내 집에 왔다가 거저 간 듯해여도 삼혼칠백1) 맑은 정신은 뒤따러만 간다 마당웃전에 수삼대궁은2) 늙구 늙드래도 우리집에 낭군님은 부디 늙지 마서요 백년을 살아야 삼백육십오일인데 그 동안에 사느라구서 고생 고생하네 말 잘하는 이순풍도 실수가 할 때가 있는데 우리야 인간으로서 실수할 때가 없느냐 일년 자란 감자포기도 일식월식하는데 사람의 마음조차 안 변할 수가 있나 1)三魂七魄. 사람의 혼백을 통틀어 이르는 말. 2)수삼대궁 : 수삼줄기. 수삼은 씨가 열리지 않는 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