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에얼싸 덩어리요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 설업의 논매는소리-에얼싸 덩어리요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정한, 조진섭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정한, 뒤/조진섭 외 |
지역개관 | 도창리는 호미로 농사지어 먹고 사는 동네라하여 붙여진 설업과 당구미, 원도창, 우구동, 설업안의 주막거리, 물꾸미, 멍들, 낭하동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들은 설업들, 앞벌들, 당구미들, 민들들(제일크다)이 있다. 마을에는 영해 박씨와 김영 김씨, 청주 안씨가 많이 살았다. 현재 170여 가구에 750여 명이 살고 있고 주민의 90%가 농사를 짓는데 논이 더 많다. 1960년에 수복된 마을로 현재 토박이는 60% 정도이다. 동제는 산제당터에 당집이 있어서 산치성을 음력 3월 3일과 9월 9일에 지낸다. 새벽 5시경에 당에 올라가며 제물은 삼실과와 통돼지 잡아서 돼지머리 쓰고, 제주는 직접 봉한다. 메는 쓰지 않고, 떡만 한 시루에 쌀 한 말 서 되씩 백설기 세 시루를 쓴다. 제사에는 모두 일곱, 여덟명이 참석하며 제관은 세 명이고 축을 읽는다. 예전에는 복술을 데리고 가서 빌었으나 지금은 제관이 집집마다 대주 소지를 올려주며 동네사람들 모두에게 떡을 나누어 준다. 제물을 준비하는 사람은 화주이며 일주일 전에 화주집에만 금줄을 치고 당에는 치지 않는다. 산신은 여신이라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2월 15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 설업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정한, 조진섭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호미로 애논(초벌) 팔 때 하던 소리이다. 논은 세벌을 맸으며 애논은 호미로 파면서 덩어리타령을 불렀고, 두벌 논은 손으로 훔치고, 삼동은 피사리하면서 풀이 남은 것을 손으로 뽑았다. 애논 맬 때는 여자들이 함께 일하지 않았지만 모를 심고 두벌, 세벌을 맬 때는 함께 일했다. |
가사 | 에어라 덩어리야
에얼싸 덩어리요 천하지대본이 농사라네 에얼싸 덩어리요 농사 한 철 지어보세 에얼싸 덩어리요 덩어리타령을 잘들 허네 에얼싸 덩어리요 에미데이 하나에 새끼데이 하나씩 에얼싸 덩어리요 세세간간이 잘 파주게 에얼싸 덩어리요 이삼간뎅이루1) 넘어간다 에얼싸 덩어리요 우리 농부 불쌍허다 에얼싸 덩어리요 저근네 갈미봉에 에얼싸 덩어리요 비가 한 쌍이 내려오네 에얼싸 덩어리요 우장을2) 허리에 두루고 에얼싸 덩어리요 기심 매는 농부덜아 에얼싸 덩어리요 이 논배미가 뉘 논배미냐 에얼싸 덩어리요 김풍지네 논일세 에얼싸 덩어리요 덩어리타령 잘들 허게 에얼싸 덩어리요 어떤 볍씨를 심었느냐 에얼싸 덩어리요 여주 여천 자차베요 에얼싸 덩어리요 진포 통진 밀다리라3) 에얼싸 덩어리요 많이 먹어 둥튀긴가4) 에얼싸 덩어리요 황금들판이 되었구나 에얼싸 덩어리요 에허라 덩어리야 에얼싸 덩어리요 우리 농부들 애들 썼네 에얼싸 덩어리요 힘두 들구 시장한데 에얼싸 덩어리요 정자나무로 나가보세 에얼싸 덩어리요 김풍지네 아주머니 에얼싸 덩어리요 술동이 이구 나와 기다리네 에얼싸 덩어리요 술 한 잔들 먹어 보세 에얼싸 덩어리요 에허라 덩어리야 에얼싸 덩어리요 힘들든데 고만 하세 에얼싸 덩어리요 1)삼간뎅이 : 호미질 한 번에 세칸을 파는 것으로 벼 세 포기 길이를 판다. 2)우장 : 비올 때 입는 옷차림. 3)여주 이천에는 자채벼가 유명했고, 김포 통진에는 밀다리라는 벼가 유명했다. 그 시절 이곳에서는 노인벼를 주로 심었다고 한다. 4)둥튀기 : 벼의 일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