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이거리 저거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숫자세기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 설업의 이거리 저거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분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분님 |
지역개관 | 도창리는 호미로 농사지어 먹고 사는 동네라하여 붙여진 설업과 당구미, 원도창, 우구동, 설업안의 주막거리, 물꾸미, 멍들, 낭하동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들은 설업들, 앞벌들, 당구미들, 민들들(제일크다)이 있다. 마을에는 영해 박씨와 김영 김씨, 청주 안씨가 많이 살았다. 현재 170여 가구에 750여 명이 살고 있고 주민의 90%가 농사를 짓는데 논이 더 많다. 1960년에 수복된 마을로 현재 토박이는 60% 정도이다. 동제는 산제당터에 당집이 있어서 산치성을 음력 3월 3일과 9월 9일에 지낸다. 새벽 5시경에 당에 올라가며 제물은 삼실과와 통돼지 잡아서 돼지머리 쓰고, 제주는 직접 봉한다. 메는 쓰지 않고, 떡만 한 시루에 쌀 한 말 서 되씩 백설기 세 시루를 쓴다. 제사에는 모두 일곱, 여덟명이 참석하며 제관은 세 명이고 축을 읽는다. 예전에는 복술을 데리고 가서 빌었으나 지금은 제관이 집집마다 대주 소지를 올려주며 동네사람들 모두에게 떡을 나누어 준다. 제물을 준비하는 사람은 화주이며 일주일 전에 화주집에만 금줄을 치고 당에는 치지 않는다. 산신은 여신이라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2월 15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 설업에서 채집한 이거리 저거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분임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진주맹근 또 맹근 짝발이 회양근 도루매 줌추 사루야 육구 육구 도레육구 동산에 머판에 엎어럭 질뚝 말뚱 탱이네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진주맹근 또 맹근 짝발이 회양근 도루매 줌추 사루야 육구 육구 도레육구 동산에 머판에 엎어럭 질뚝 말뚱 텡이네 (웃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