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에헤라 덩어리요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철원군 갈말읍 토성리 대대울의 논매는소리-에헤라 덩어리요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광진, 고의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광진, 뒤/고의환 외 |
지역개관 | 철원군 갈말읍 토성리 대대울은 토성농악으로 유명했다. 민속예술경연대회에도 여러 번 참가한 적이 있다. 1955년에 수복되어 현재 130여 가구에 530여 명이 살고 있고 토박이는 주민의 50% 정도이다. 상토성과 하토성인 대대울이 합쳐서 이루어진 마을로 하토성에는 20여 가구가 살고 있고, 상토성은 현재 인구가 늘고 있다. 예전에는 하토성에 여양 진씨가, 상토성에 김해 김씨와 풍천 황씨가 많이 살았다. 마을사람 대부분은 농사를 짓고 있으며 논이 80%로 논농사 중심이다. 밭에는 사료용 옥수수와 고추, 깨 등을 심는다. 예전에는 밭도 많았으나 객토를 하여 논으로 만들었다. 동제는 산제사를 지내다가 그만두었는데 작년부터 다시 지내기 시작했다. 일년에 두 번 3월 3일과 9월 9일에 정해놓고 지내며 산제당의 당집은 올해 새로 지었다. 원래는 동네 뒷산인 덕용산 줄기에 큰 당나무가 있었는데 이 나무를 베어버리고 10년동안 동제를 지내지 않았다. 그 이후에 마을에 좋지 않은 일이 자꾸 생겨서 점장이 한테 물어보았더니 산제사를 다시 지내라 했고, 동네 사람들한테 여론조사를 한 결과 130가구 중에 100여가구인 80%의 찬성으로 다시 지내게 되었다. 제물비용은 3월 3일 산제사에 집집마다 만원씩 90가구를 걷어서 당집 짓고 제구로 쓸 그릇을 준비했으며 제물 장만을 하였다. 제물은 통돼지 한 마리 잡아서 썼고 20만원 정도 남은 돈과 가을 산제사에 오천원씩 다시 걷어서 제물비용을 하고 남은 돈이 지금 20-30만원정도 적립되어 있다. 소지는 지내겠다고 한 집만 올려주되 돈을 내지 않아도 원하는 사람은 올려준다. 제물을 준비하는 사람은 화주라고 하며 대주의 생기를 맞추어서 두 집을 뽑는다. 제주는 사다가 쓰며 메는 쓰지 않고 떡시루만 쓴다. 그리고 제사가 끝나면 제물은 반별로 나누어서 동네 사람들이 함께 음복한다. 이곳은 여신을 모신다. 대부분의 동네일은 나이 많은 어른들의 의견을 따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2월 17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갈말읍 토성리 대대울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광진, 고의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호미로 애논을 파면서 했던 소리이다. 두벌을 맬 때는 방아타령을 불렀으며, 세벌은 그냥 피만 뽑았다. 1970년대에 제초제가 나오면서 논을 매지 않았기 때문에 소리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
가사 | 에헤라 덩어리요
에얼싸 덩어리요 하나 둘이 하드래도 에얼싸 덩어리요 열 스물이 허는 듯이 에얼싸 덩어리요 웃배미는 찹쌀베라 에얼싸 덩어리요 아랫논에는 멥쌀베라 에얼싸 덩어리요 우리 논에 물이 찬께 에얼싸 덩어리요 가득 가득 실어주소 에얼싸 덩어리요 우리 논들 잘도 맨다 에얼싸 덩어리요 목 말르면 술도 있고 에얼싸 덩어리요 배 고프면 밥도 있네 에얼싸 덩어리요 질 가는 아주머니 벌럭그려1) 에얼싸 덩어리요 무우 배추 뜯어간다 에얼싸 덩어리요 즘섬에는 닭괴기라 에얼싸 덩어리요 저누리참엔2) 미역냉이라3) 에얼싸 덩어리요 에얼싸 덩어리요 에얼싸 덩어리요 조팝 이팝을 잘 되게 할래면 에얼싸 덩어리요 한 번 매고 두 번 매어 에얼싸 덩어리요 잡곡 이팝을 다 하였구나 에얼싸 덩어리요 잘 찧느네 방애를 찧어서 에얼싸 덩어리요 추수꾼이 늘었구나 에얼싸 덩어리요 작년에는 백석이오 에얼싸 덩어리요 올해는 삼백석을 에얼싸 덩어리요 부모님에 얘기허고 에얼싸 덩어리요 햇밥을 잡술 때에 에얼싸 덩어리요 너 때미로 농사를 에얼싸 덩어리요 많이 해서 흐뭇하다 에얼싸 덩어리요 에얼싸 덩어리요 에얼싸 덩어리요 명사십리 해당화야 에얼싸 덩어리요 꽃이 진다 설워마라 에얼싸 덩어리요 명년삼월 봄이 되면 에얼싸 덩어리요 너는 다시 핀다마는 에얼싸 덩어리요 북조선에 있는 국민 에얼싸 덩어리요 굶어 죽구 얼어 죽네 에얼싸 덩어리요 우리가 한 동포에 에얼싸 덩어리요 생각나고 또 생각난다 에얼싸 덩어리요 1)벌럭그려 : 치마자락이 펄럭거린다는 말로 바쁘게 왔다갔다 하는 뜻이라고 한다. 2)저누리참 : 참, 또는 새참. 지역에 따라서는 저누리(젠노리, 전노리 등)와 참을 구분하여 저누리에는 음식을 먹고, 참은 술참이나 담배참 등을 말하기도 한다. 또 어떤 지역은 오전에 나오는 참을 새참이라 하고 오후에 나오는 참을 젠노리라 하기도 한다. 3)미역냉 : 미역냉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