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에여라 방아요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 중구재의 논매는소리-에여라 방아요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안승덕, 정영복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안승덕, 뒤/정영복 외 |
지역개관 | 상노2리는 상길성, 중구재(하길성), 썩은오리, 새청벌(20호 이상), 동이터, 사청동(등을 하나 넘어서면 남창이 있다), 샘말, 행길미, 연승동, 등촌 등의 자연마을이 있으며 동이터는 마을이 동이 모양으로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고, 중구재는 중귀현이라고도 하는 작은고개 이름이다. 1954년에 수복이 되었으며 현재 106가구에 350여 명이 살고 있다. 마을사람들은 대부분 농사를 짓고 있으며 밭도 논으로 만든 곳이 많아서 논농사 중심이다. 논은 오금뱅이(오금방), 팥밭골(두전동), 샘말, 당골(꼭대기에 서낭당 당나무가 있어서 매년 치성을 드렸다.), 등너머 개우개(개울 여가리로 벌판), 사방거리 앞뜰(네갈래의 길이 있다.), 개울건너에 선개벌은 마을에서 제일 먼저 생긴 벌이다. 논 가운데 드문드문 돌이 박혀서 생긴 돌백이, 소터골, 중구재 야산에 봄이면 진달래가 많이 피어서 화전터, 마을옆의 산이 굴모양으로 생겨서 굴둔치, 고려때 향교를 지었던 곳으로 생기터(향교터), 고려때 군소재지로 김해 김씨 집성촌이었던 귓골 등에 논이 있다. 예전에는 상길성에 순흥 안씨, 동이터에 밀양 박씨, 사청동에 평해 구씨, 연승동에 풍천 임씨, 등촌에 전주 이씨가 많이 살아서 자연마을 단위로 집성촌을 이루었다. 동제는 용정산에 있는 산제당에서 음력 9월 9일에 정해놓고 지낸다. 예전에는 소를 잡아서 썼으나 지금은 9월 8일 밤에 모여서 돼지를 잡아 쓰고 제주도 봉해서 쓴다. 산제당에는 당집은 없고 큰 바위가 있어서 신체로 모신다. 예전에는 서낭당에 가서도 지냈으나 수복이후에는 지내지 않았으며 지금은 경기도 관인면의 남창사람들이 음력 7월 7일에 와서 지내고 있다. 용정산은 금악산의 맥으로 생겼으며 한탄강이 흐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2월 18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 중구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안승덕, 정영복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논은 보통 세벌을 매는데 애논은 호미로 파고, 두벌은 손으로 흙을 주물러 주면서 풀을 뽑는다. 삼동(세벌)은 풀이 남은 것을 뽑으면서 돌피사리를 한다. 세벌 모두 품을 사서 하루에 다 맨다. 애논을 맬 때는 힘이 들어서 소리를 못하고 잘하는 사람만이 가끔 뎅이소리를 한다. 방아타령은 두벌 논과 삼동을 맬 때 부르던 소리이다. |
가사 | 에여라 방아요
에여라 방아요 에여라 방아요 에여라 방아요 옳다 인제 일 잘하네 에여라 방아요 이 방아는 뉘 방안가 에여라 방아요 강태공에 조석방아1) 에여라 방아요 방아꾼은 멫이던가 에여라 방아요 이팔이 십육 옐예섯명 에여라 방아요 방아살가진2) 무슨 나무 에여라 방아요 대추나무 쌍살가지3) 에여라 방아요 방아굴대는4) 무신 나문가 에여라 방아요 백두산에서 천년 묵은 에여라 방아요 전나무루 굴댈 허고 에여라 방아요 방아채는5) 무신 나무 에여라 방아요 보개산에서6) 잘 자란 에여라 방아요 박달나무루 채를 허세 에여라 방아요 방아굉이는7) 무신 나무 에여라 방아요 오백년 묵은 낙락장송 에여라 방아요 방아확은8) 무신 나무 에여라 방아요 철원에서 제일 좋은 에여라 방아요 화강암으루 방아확 허세 에여라 방아요 방아를 잘 찧어서 에여라 방아요 전국에서 제일 가는 에여라 방아요 오대쌀을 많이 찧세 에여라 방아요 우리 모두 열심히 찧어 에여라 방아요 한 톨이라두 더 내세 에여라 방아요 남는 쌀은 무얼 허나 에여라 방아요 동포 구제두 해봅시다 에여라 방아요 에여라 방아요 1)조석방아 : 흔히 강태공의 조작방아라고 하지만 가창자는 아침 저녁 찧는 방아라는 뜻에서 조석방아라고 한다고 한다. 2)방아살가지 : 방아를 받쳐놓는 받침대. 3)쌍살가지 : 한줄기에서 Y 모양으로 뻗어나간 가지. 대추나무 쌍살가지는 야물다고 한다. 4)방아굴대 : 물방아 바퀴의 중심을 가로지른 굵은 나무. 팔모로 깎는다. 5)방아채 : 방앗공이를 낀 긴나무. 6)보게산 : 철원과 경기도의 접경지역에 있는 산. 7)방아굉이→방앗공이 : 방아확에 든 곡식 따위를 내리찧는 공이. 방앗공이는 소나무나 잣나무와 같이 단단하지 않은 재료를 써야 하며, 박달나무 처럼 단단한 재료를 쓰면 쌀이 깨진다고 한다. 8)방아확 : 방앗공이가 떨어지는 자리에 놓인 우묵하게 파진 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