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집터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건축 > 집터다지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 중구재의 집터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안승덕, 정영복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안승덕, 뒤/정영복 외 |
지역개관 | 상노2리는 상길성, 중구재(하길성), 썩은오리, 새청벌(20호 이상), 동이터, 사청동(등을 하나 넘어서면 남창이 있다), 샘말, 행길미, 연승동, 등촌 등의 자연마을이 있으며 동이터는 마을이 동이 모양으로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고, 중구재는 중귀현이라고도 하는 작은고개 이름이다. 1954년에 수복이 되었으며 현재 106가구에 350여 명이 살고 있다. 마을사람들은 대부분 농사를 짓고 있으며 밭도 논으로 만든 곳이 많아서 논농사 중심이다. 논은 오금뱅이(오금방), 팥밭골(두전동), 샘말, 당골(꼭대기에 서낭당 당나무가 있어서 매년 치성을 드렸다.), 등너머 개우개(개울 여가리로 벌판), 사방거리 앞뜰(네갈래의 길이 있다.), 개울건너에 선개벌은 마을에서 제일 먼저 생긴 벌이다. 논 가운데 드문드문 돌이 박혀서 생긴 돌백이, 소터골, 중구재 야산에 봄이면 진달래가 많이 피어서 화전터, 마을옆의 산이 굴모양으로 생겨서 굴둔치, 고려때 향교를 지었던 곳으로 생기터(향교터), 고려때 군소재지로 김해 김씨 집성촌이었던 귓골 등에 논이 있다. 예전에는 상길성에 순흥 안씨, 동이터에 밀양 박씨, 사청동에 평해 구씨, 연승동에 풍천 임씨, 등촌에 전주 이씨가 많이 살아서 자연마을 단위로 집성촌을 이루었다. 동제는 용정산에 있는 산제당에서 음력 9월 9일에 정해놓고 지낸다. 예전에는 소를 잡아서 썼으나 지금은 9월 8일 밤에 모여서 돼지를 잡아 쓰고 제주도 봉해서 쓴다. 산제당에는 당집은 없고 큰 바위가 있어서 신체로 모신다. 예전에는 서낭당에 가서도 지냈으나 수복이후에는 지내지 않았으며 지금은 경기도 관인면의 남창사람들이 음력 7월 7일에 와서 지내고 있다. 용정산은 금악산의 맥으로 생겼으며 한탄강이 흐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2월 18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 중구재에서 채집한 집터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안승복, 정영복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집터는 봄에 얼었던 땅이 녹을 무렵인 2-3월과 초가을에 많이 다졌다. 낮에는 일손이 바쁘기 때문에 주로 밤에 황덕불을 해 놓거나 손에 횃불을 들고 다졌다. 마을에 집을 새로 짓는 사람이 있으면 동네사람들은 의례히 가서 다져 주었고, 주인은 막걸리나 먹을 것을 대접하면 되었다. 집터를 다질 때에는 터를 닦기 전에 먼저 집터 가운데에다 돼지머리, 팥시루떡 등을 놓고 고사를 지낸 후에, 집터의 네 귀를 돌아가며 소금을 뿌리고 쑥을 태워서 미리 액을 막았다. 그리고 기둥이 설 자리를 둘레 1m 정도에 깊이 1m 정도를 파고 그 속에다 상하지 않고 오래 보존할 수 있도록 구리를 넣었으며, 재앙이나 액을 막기 위해 고추가루, 소금, 목화씨, 쑥 등을 넣거나 또는 불을 피웠다. 그런 다음에 돌과 모래를 섞어서 넣고, 보통 10여명 정도가 돌이나 나무둥치에 줄을 매달아 이것을 당겨 들었다 놓으면서 다졌다. 한 지점은 보통 일흔번에서 여든번 정도를 다져야 제대로 다져지며 땅에 물이 생길 때까지 다진 후에 그 위에다 주춧돌을 놓고 기둥을 세웠다. 집을 다 지은 다음에도 날을 받아 성주시루, 터주시루, 제석시루, 마굿간 등 집안의 가신 마다 시루를 준비해 놓고 고사를 지냈다 한다. |
가사 | 에이얼싸 지경이요
에얼싸 지경이요 옳다 인제 일 잘 하네 에얼싸 지경이요 우주는 대한민국 에얼싸 지경이요 강원도에 철원일세 에얼싸 지경이요 철원허구 동송면 에얼싸 지경이요 상노리에 들어와서 에얼싸 지경이요 덕수이씨 가문에서 에얼싸 지경이요 고대광실을 세울랴고 에얼싸 지경이요 여러분을 모셔 놓고 에얼싸 지경이요 지경을 다을 적에 에얼싸 지경이요 이 자리는 누가 정했나 에얼싸 지경이요 명성 높은 풍수 찾아 에얼싸 지경이요 팔도명산을 돌아다니다가 에얼싸 지경이요 용정산1) 기슭 아래 에얼싸 지경이요 좌청룡이 흘러들고 에얼싸 지경이요 우백호 감돌았으니 에얼싸 지경이요 과연 여기가 명당일세 에얼싸 지경이요 요 터에다 집을 지면 에얼싸 지경이요 아들 낳으면 효자 되고 에얼싸 지경이요 딸을 낳으면 열녀 되고 에얼싸 지경이요 득수는 어디멘가 에얼싸 지경이요 인방이2) 득수됐네 에얼싸 지경이요 득파는 어디멘가 에얼싸 지경이요 신방이3) 득파로다4) 에얼싸 지경이요 도편수5) 박편수는 에얼싸 지경이요 넓은 자귀를6) 갈아들고 에얼싸 지경이요 문간채를 먼저 짓고 에얼싸 지경이요 안방채를 지어 놓구 에얼싸 지경이요 건넌방채 지어 놓고 에얼싸 지경이요 골방 내방두 마저 짓세 에얼싸 지경이요 북방으론 광을 짓고 에얼싸 지경이요 남방에는 우물 파고 에얼싸 지경이요 동방에는 방아 놓고 에얼싸 지경이요 여보시오 힘드는데 에얼싸 지경이요 잠시 잠깐 쉬어헐테니 에얼싸 지경이요 (“자 잠시잠깐들 쉬세요.”) 1)용정산 : 상노리에 있는 산으로 금악산의 맥이다. 2)寅方. 이십사 방위의 하나. 간방(艮方)의 동쪽 첫째 번 15도 각도 이내의 방위. 3)申方. 이십사 방위의 하나. 곤방(坤方)의 서쪽 첫째 번 15도 각도 이내의 방위. 4)得水得破. 풍수지리에서, 산 속에서 나와 산 속으로 흐르는 물을 일컫는 말. 묘지에서 보아서 처음 보이는 지점을 득수, 나중에 보이는 지점을 파문이라 함. 5)도편수 : 집을 지을 때 총책임을 맡는 목수의 우두머리. 6)자귀 : 나무를 깎아 다듬는 연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