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 중구재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안승덕, 정영복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안승덕, 뒤/정영복 외 |
지역개관 | 상노2리는 상길성, 중구재(하길성), 썩은오리, 새청벌(20호 이상), 동이터, 사청동(등을 하나 넘어서면 남창이 있다), 샘말, 행길미, 연승동, 등촌 등의 자연마을이 있으며 동이터는 마을이 동이 모양으로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고, 중구재는 중귀현이라고도 하는 작은고개 이름이다. 1954년에 수복이 되었으며 현재 106가구에 350여 명이 살고 있다. 마을사람들은 대부분 농사를 짓고 있으며 밭도 논으로 만든 곳이 많아서 논농사 중심이다. 논은 오금뱅이(오금방), 팥밭골(두전동), 샘말, 당골(꼭대기에 서낭당 당나무가 있어서 매년 치성을 드렸다.), 등너머 개우개(개울 여가리로 벌판), 사방거리 앞뜰(네갈래의 길이 있다.), 개울건너에 선개벌은 마을에서 제일 먼저 생긴 벌이다. 논 가운데 드문드문 돌이 박혀서 생긴 돌백이, 소터골, 중구재 야산에 봄이면 진달래가 많이 피어서 화전터, 마을옆의 산이 굴모양으로 생겨서 굴둔치, 고려때 향교를 지었던 곳으로 생기터(향교터), 고려때 군소재지로 김해 김씨 집성촌이었던 귓골 등에 논이 있다. 예전에는 상길성에 순흥 안씨, 동이터에 밀양 박씨, 사청동에 평해 구씨, 연승동에 풍천 임씨, 등촌에 전주 이씨가 많이 살아서 자연마을 단위로 집성촌을 이루었다. 동제는 용정산에 있는 산제당에서 음력 9월 9일에 정해놓고 지낸다. 예전에는 소를 잡아서 썼으나 지금은 9월 8일 밤에 모여서 돼지를 잡아 쓰고 제주도 봉해서 쓴다. 산제당에는 당집은 없고 큰 바위가 있어서 신체로 모신다. 예전에는 서낭당에 가서도 지냈으나 수복이후에는 지내지 않았으며 지금은 경기도 관인면의 남창사람들이 음력 7월 7일에 와서 지내고 있다. 용정산은 금악산의 맥으로 생겼으며 한탄강이 흐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2월 18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 중구재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안승덕, 정영복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출상소리이다. 출상 전에 하는 하직소리는 후렴을 “에헤이 사도여”로 받는다. |
가사 | (후렴) 어허 허호 오호넘차 어호
허허 허호 오호넘차 허호 어제오늘 성튼 몸이 우는소리가 웬 말인가 초록겉은 우리 인생 아차하는 이 순간에 이 세상을 하직허고 북망산이 웬말인가 가구 가도 한이 읎는 한적 없는 그 길일세 옛노인의 말 들으니 장생불사는1) 없답디다 초록겉은 우리 인생 장생불사를 어찌허리 이 세상에 오실 적에 빈손 들구서 오셔서 알뜰살뜰 모은 재물 먹구가나 쓰구 가나 담배 주려 모은 재물 어디다가 버리구 가나 이왕지사 가는 길에 선심이나 허구 갈까 배 고픈 사람 밥을 주어 아사구제나2) 허구 가지 옷 읎는 사람 옷을 주어 구란공덕3) 허구 가지 목 마른 사람 물을 주어 금수공덕4) 허구 가지 깊은 물에 다리를 놓아 월천공덕5) 허구 가지 높은 산에 법당 지어 염불공덕 허구 가세 인제 가시면 원제 오시나 오시는 날이나 알려주오 1)長生不死. 2)餓死救濟. 굶어서 죽을 것을 구제해 줌. 3)救難功德. 어려움을 구해 준 공덕. 4)給水功德. 목마른 이 에게 물을 준 공덕. 5)越川功德. 깊은 물을 건너 준 공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