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질꼬내기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춘천군 신북면 발산리 서덜골의 논매는소리-질꼬내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심상근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심상근 |
지역개관 | 춘천군 신북면 발산리 서덜골의 바르미는 왕뒤, 벌터모테이, 금광터, 서덜골, 사만골, 벌바르미, 법해, 광목고개 등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다. 벌터모테이는 예전에 마을에서 잘못하거나 죄를 지은 사람에게 벌을 주던 곳이라고 한다. 논이 있는 들은 장시물로 예전에 장이 섰던 곳인데 물이 많아서 논이 되었다. 그리고 떼밭과 솔밭은 신북에서 가장 넓었던 들이었다. 마을 가운데에는 바리산이 있으며 바릿대(주발)를 엎어놓은 형국이라고 한다. 마을에는 74가구가 모두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다. 현재 논과 밭은 반반으로 예전에는 밭을 논으로 떴지만 지금은 특수작물 재배를 위하여 다시 밭으로 만들어 오이·호박·토마토·버섯 등을 재배하고 있는데 벼농사보다 수익이 더 많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6월 8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북읍(춘천군 신북면) 발산리 서덜골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심상근이 참여하였다. 논을 맬 때 아이짐은 호미로 매고, 두벌은 손으로 맸다. 아이 맬 때는 뎅이소리를 했는데 이것은 참 때가 되어 모두가 합창으로 신호를 보내는소리였다. 위의 질꼬내기는 손으로 두벌을 맬 때 부르던 것으로 원래는 선후창으로 불렀다. 질꼬내기는 인근 지역에서 흔적을 찾기 어려운 소리로, 아주 오래된 논매는소리로 보인다. |
가사 | 오늘날도 에에 하심심허니
질꼬나기나 허여를 보세 아엘싸 아졸씨구나 소리소솔솔 넘어를 간다 칠포1) 질쌈 에헤 잘허는 부인 간데 족족에 베만 과광쾅 짠다 아엘싸 아졸씨구나 소리소솔솔 넘어만 간다 칠포 질쌈 에에 못허는 부인 간데 족족에 매만 과광쾅 맞누나 아엘싸 아졸씨구나 소리솔솔 넘어만 간다 1)칠포 : 가는 실로 짠 고운 베. 모시 비슷하며 제일 고운 베라고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