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춘천군 신북면 발산리 서덜골의 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심상근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심상근 |
지역개관 | 춘천군 신북면 발산리 서덜골의 바르미는 왕뒤, 벌터모테이, 금광터, 서덜골, 사만골, 벌바르미, 법해, 광목고개 등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다. 벌터모테이는 예전에 마을에서 잘못하거나 죄를 지은 사람에게 벌을 주던 곳이라고 한다. 논이 있는 들은 장시물로 예전에 장이 섰던 곳인데 물이 많아서 논이 되었다. 그리고 떼밭과 솔밭은 신북에서 가장 넓었던 들이었다. 마을 가운데에는 바리산이 있으며 바릿대(주발)를 엎어놓은 형국이라고 한다. 마을에는 74가구가 모두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다. 현재 논과 밭은 반반으로 예전에는 밭을 논으로 떴지만 지금은 특수작물 재배를 위하여 다시 밭으로 만들어 오이·호박·토마토·버섯 등을 재배하고 있는데 벼농사보다 수익이 더 많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6월 8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북읍(춘천군 신북면) 발산리 서덜골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심상근이 참여하였다. 사설 네마디의 내용이 연결돼 있다. 아라리 가사로서는 특이한 경우로서, 개인적 창작이 덧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
가사 | 중천에 뜬 달이 우연히 비춰
대장부에 간장을 산란케만 헌다 담 넘어 갈 적에는 큰 맘을 먹고 문고리를 잡구서 발발 떠네 문고릴 잡구서야 떨지를 말고 본남이 없으니 들어만 오소 더듬더듬적 더듬더듬 더듬지를 말고 아랫목에 벼개 있으니 내려만 오소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로구나 어디어디가 시구 절려 아라리를 허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