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엮음아라리,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춘천군 신북면 율문리 아랫샘밭의 엮음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우경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우경 |
지역개관 | 춘천군은 춘천시로 통합되기 이전 춘천시의 외곽을 둘러싸고 있던 군으로 동쪽은 인제군, 남동쪽은 홍천군, 서쪽은 경기도 가평군, 북쪽은 화천군·양구군과 접하고 있었다. 군의 총면적은 1,040.64㎢이고, 1994년말 11,909가구에 인구는 40,886명이었다. 행정구역은 10면 169리 586반 446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1995년 1월 1일 춘천시로 통합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6월 15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북읍(춘천군 신북면) 율문리 아랫샘밭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우경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임자 당신이여 두야두야 금일날 저녁에 오셨다 갔다구
야단나구 법석나구 분경나구1) 화리똥 아람에2) 홍두깨 우러리3) 빨래줄 절벽에4) 목침이 찜질에 매 맞는 것두 신선이 노시든 매지 달두 침침 일하 샘경에5) 안녕히 돌아가서요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얼씨구 아라리야 우리댁 두야두야 서방님은두 잘 났던지 못 났던지 안팍곱새6) 등곱쟁이에 실라끈7) 모가지 장구통 배때기 해 가지고 서산나귀 솔질하여 순금안장 지어를 놓고 이 돈에 팔백냥 저 돈에 칠백냥 일천에 오백냥 둥글넙적 맷돌짐으루 실어 놓고 골패투전 낭낭주머니 웃짐을 쳐가지고8) 함경북도 길주명천 부령청진 회령유성 탄광으로 투전패 잡으러 갔는데 아래 웃동네 초군님네들 놀러 오소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어디가 시구나 저려서 아라린가 1)분경→분쟁(紛爭). 2)화리똥 아람에: 화로 아름에. 화가 나서 화로를 안아들어 팽개친다는 뜻인 듯. 3)우러리: 굵은 나무. 여기서는 굵은 홍두깨로 때린다는 뜻. 4)절벽에→결박에. 5)샘경: 삼경(三更). 한밤중. 6)안팍곱새: 가슴과 등이 모두 굽은 곱사. 7)실라끈: 실처럼 가늘다는 뜻. 8)웃짐을 치다: 큰 짐 위에 작은 짐을 얹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