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삶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춘천군 서면 현암리 지시울의 논삶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승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승춘 |
지역개관 | 현암리는 길게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마을로 제일 꼭대기가 푸무골이고, 중간이 지시울, 끝이 가마리이다. 푸무골은 골짜기가 푸르고 샘이 좋아서 여름 삼복더위에 그 물을 마시면 땀띠가 없어진다고 하는데 현재 18가구가 살고 있다. 지시울은 63가구가 있으며, 가마리는 50여 가구가 있다가 댐이 완공되면서 농토나 집이 수몰되는 바람에 대부분 떠나고 현재 4가구가 살고 있다. 댐으로 수몰된 지역은 중도였으며 이 지역에 농토를 가지고 있던 사람들은 거의 다 떠났다. 마을에는 강릉 유씨(묘금도 유씨)가 제일 먼저 들어왔으며, 청산 정씨가 비슷하게 들어왔다고 한다. 그리고 정씨, 유씨, 쌍용 최씨 등이 자연마을 단위로 집성촌을 이루어 살았다고 한다. 마을사람들은 대부분 농사를 지으며 40여호가 농가이고, 나머지는 상업을 하거나 서울 사람들이 들어와서 집을 지어 놓은 것이라고 한다. 농사는 농토가 많지 않아서 크게 짓지는 못하고 다만 야채류를 집중적으로 재배하여 춘천시의 번개시장에 직접 내다 팔고 있다. 동제는 서낭당에서 해마다 동짓달 초하루에 산천제사를 지낸다. 서낭당은 소나무를 신목으로 하여 그 주위를 빙둘러 돌담을 쌓아 놓았다. 예전에는 산천제사와 강제사를 같이 지냈었다. 이 마을에서 시내로 갈려면 섬으로 되어 있는 중도까지 배를 타고 가서 거기서 다시 배를 타고 춘천으로 갔었는데 이러한 뱃길의 무사고 등과 관련하여 강제사를 지냈다. 옛날부터 현암리는 거묵바우가 세 개가 있었야지만 동네를 지킬 수 있다하여 푸무골과 지시울, 가마리에 각각 1개씩 바위가 있었고, 강제사는 가마리의 바위에서 지냈다. 그러다가 댐이 완공되면서 바위가 모두 물속에 잠긴 다음에는 강가에서 계속 지내다가 1985년 이후부터 강제사는 지내지 않고 지금까지 산천제사만 지내고 있다. 제물비용은 마을의 공동기금으로 충당하고 있으며, 공동기금은 마을 땅이 조금 있으나 그곳에서 나오는 수입은 거의 없고 다만 마을에 초상이 나거나하면 동네사람 모두가 동원되어 함께 일을 치르고 난 다음에 초상집에서 조금씩 나오는 돈으로 마련한 것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6월 8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춘천군) 서면 현암리 지시울에서 채집한 논삶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승춘이 참여하였다. 이 지역에서는 논을 삶는 사람을 보애비. 모를 심을 때는 보애비가 두 명으로 한 명은 거슬러주고(삶기 전에 쟁기로 골을 켜서 물꼬를 타 주는 것) 한 명은 써레질을 한다. |
가사 | 이려 어디 이소
이 쓰레1) 갈잎이 몰린다 앞두렁 뒷두렁 잘 살피고 다려 여 어치! 안소 다려 마랏소 다려라 제누리참 먹기 전에 못소고리2) 들어닥쳐 쇠뿌리에 모춤 올라간다 어서 다려라 이놈으 소야 니가 빨리 다려야 내가 편해 이 한 논두렁 삶아 놓고 저 한 논두렁 넘어가자 이러! 이려 이려마마 안소 다려어 마랏소 다리고 안소 들어서 시장하면 증심 먹구 꼴 한 소고리 비여오네 저걸 보고 다려다려 너두 땀 나고 나도 땀 나 이려! 여어치! 어어어디여 저 소 와와!! 즘심먹자 1)쓰레→써레. 소나 말이 끌게 하여, 갈아 놓은 논을 삶는 데 쓰는 농구. 2)못소고리 : 모춤을 담은 바소거리. 한쪽에서 소를 몰아 논을 삶아 놓으면 다른 일꾼들이 모를 쪄낸 모춤을 가져와 논에 골고루 던져 놓아서 쉽게 심을 수 있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