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미나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춘천시 서면 방동리 방골의 논매는소리-미나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칠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칠순 |
지역개관 | 춘천시 서면 방동리 방골은 춘천시내 사람들이 꼬나방동이라고 부른다. 방동리는 두둑부리, 골당미, 담부덩이, 홍골 등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현재 80여 가구가 살고 있다. 꼬나방동은 옛부터 이 마을에서 땔감용 장작을 많이 내다 팔았는데 장작을 팔 때 엉크렇게 쌓아서 많아 보이게 하여 생긴 별명이라고 한다. 나무장사가 많았던 마을이고 삼판도 많이 했다. 나무는 마을의 명산인 장잘공산에서 많이 했는데 장잘공은 고려의 개국공신 신숭겸으로 그의 묘가 있으며, 많은 일화가 전해온다. 현재 마을에는 80여 가구가 대부분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는데 논이 80%로 밭보다 많고 예전에는 논에다 담배를 심었으나 해방직후부터는 심지 않았으며 논은 두둑들이 제일 크다. 그리고 소를 많이 사육하는데 2가구가 100마리 이상이고 평균은 40-60마리 정도를 사육하고 있다. 동제는 산천지사를 음력 10월 15일에 지낸다. 동네땅이 있어 이 땅을 부치는 사람이 정해놓고 지내며 제관은 이장과 새마을지도자 등이다. 마을에 부정한 일이 생기면 같은 마을은 한 달, 다른 마을은 7-10일 정도 미루어진다. 6·25전에는 거리지사도 지냈으나 없어졌다. 그리고 신숭겸 시제를 9월 9일과 3월 3일에 지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6월 14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서면 방동리 방골에서 채집한 논삶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칠순이 참여하였다. 경기도 민요로 되어 있는 이별가를 연상시키는 노래로, 강원도에서도 춘천지역에만 드물게 분포하는 노래이다. 일반적인 미나리의 한 종류로 볼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나, 이별가와 흡사한 점이 많아 두 노래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학문적 연구가 필요하다. 옆에서 악기 반주를 연상시키는 듯한 입소리를 내주는 것도 주목할 만한 요소이다. |
가사 | 지해 지는 해는 지구 싶어 지나
날 버리고서 가시는 님은 가고 싶어 가나 오늘날 들이 논밭자리를 타구 앉어 하니 힘이 들어 못허겠네 여보세요 힘이 들면은 참도 있구 술두나 있어요 오늘날도 저 해가 다 지라도 이 논밭자리를 다 매여주서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