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밭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춘천시 서면 방동리 방골의 밭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칠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칠순 |
지역개관 | 춘천시 서면 방동리 방골은 춘천시내 사람들이 꼬나방동이라고 부른다. 방동리는 두둑부리, 골당미, 담부덩이, 홍골 등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현재 80여 가구가 살고 있다. 꼬나방동은 옛부터 이 마을에서 땔감용 장작을 많이 내다 팔았는데 장작을 팔 때 엉크렇게 쌓아서 많아 보이게 하여 생긴 별명이라고 한다. 나무장사가 많았던 마을이고 삼판도 많이 했다. 나무는 마을의 명산인 장잘공산에서 많이 했는데 장잘공은 고려의 개국공신 신숭겸으로 그의 묘가 있으며, 많은 일화가 전해온다. 현재 마을에는 80여 가구가 대부분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는데 논이 80%로 밭보다 많고 예전에는 논에다 담배를 심었으나 해방직후부터는 심지 않았으며 논은 두둑들이 제일 크다. 그리고 소를 많이 사육하는데 2가구가 100마리 이상이고 평균은 40-60마리 정도를 사육하고 있다. 동제는 산천지사를 음력 10월 15일에 지낸다. 동네땅이 있어 이 땅을 부치는 사람이 정해놓고 지내며 제관은 이장과 새마을지도자 등이다. 마을에 부정한 일이 생기면 같은 마을은 한 달, 다른 마을은 7-10일 정도 미루어진다. 6·25전에는 거리지사도 지냈으나 없어졌다. 그리고 신숭겸 시제를 9월 9일과 3월 3일에 지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6월 14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서면 방동리 방골에서 채집한 밭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칠순이 참여하였다. 소 두 마리를 몰아 밭을 갈면서 하는소리이다. |
가사 | 에히 이러!
어어 어러 마마 어디여허어 산비탈이 되니 니나 내나 조심해 여디 밟아주게 어이치! 후후 어디여오오 저 바우를 비켜 나가주게 니나 내나 조심해야 된다 방뎅이가 걸친다 허어! 얼가 어러마마 안소가 니려 닥치지 말고 마라소가 한 발자국 더 나가주게 참나무 방뎅이가 많으니 비켜나야주게 어이치 후후! 어이 후우! 니나 내나 먹은 죄다 잡아다려 주게 헤에 어이! 어이치 후후! 어디루 왔다 갔다 하지를 말고 제골루 들어시면 심도 안들고 니나 내나 편하다 어이치 후후! 우이! 이러 어서 가자! 저 산에 해가 그늘이 지워가네 이러! 어서 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