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헤이여라 방아요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춘천군 남면 발산리 황골의 논매는소리-헤이어라 방아요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40614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강원도 > 춘천시 |
생산지역 상세 | (구 춘천군) 남면 발산리 황골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9 , 논매는소리 , 헤이여라방아요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강원특별자치도 , 강원도 , 강원 , 춘천시 , 1994 , 1996 , 헤이여라 방아요 , 조창근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조창근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조창근 |
지역개관 | 발산리는 마을 가운데에 있는 산 발봉의 이름을 따서 발산이라 하였으며 산 모양이 바릿대와 같이 생겼다고 한다. 발산1리는 황골, 소암(좌방산), 개골, 작은개골, 큰황골, 작은황골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마을에는 현재 20여 가구가 살고 있으며 논농사와 밭에서 오이, 가지, 고추 등을 재배하고 있다. 예전에는 화전이 성행했던 지역으로 조 10섬을 씨로 뿌릴 정도였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6월 14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춘천군) 남면 발산리 황골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창근이 참여하였다. 초벌 매면서 하는소리이다. |
가사 | 헤이 여라 방아요
헤이 여라 방아요 방아하는 이 농부님네 헤이 여라 방아요 이내 소리를 들어보게 헤이 여라 방아요 옛날 노인들 하신 말쌈도 헤이 여라 방아요 천하지대본일세 헤이 여라 방아요 농사밖에만 또 있는가 헤이 여라 방아요 놀질 말구 농사해라 헤이 여라 방아요 농사철에가 하루를 쉬면 헤이 여라 방아요 겨울철에 가 열흘을 굶는데오 헤이 여라 방아요 에이여라 방아요 에이여라 방아요 방아하는 농부님네 에이여라 방아요 일을 심써 해여보세 에이여라 방아요 천하지대본인가 에이여라 방아요 놀지 놀지 놀지 말고 에이여라 방아요 농사에다가 힘을 씨세 에이여라 방아요 정아머리에1) 섰는 농부 에이여라 방아요 헛길삼직2) 벌을 줌세 에이여라 방아요 그 중에두 잘허는 농부는 에이여라 방아요 막걸리 삼잔 상을 줌세 에이여라 방아요 1)정아머리 : 돌머리. 논을 거의 다 매고 끝을 빙둘러 싸는 부분. 2)헛길삼직 : ? 원래는 냉수삼잔 벌을 주는 것이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