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미나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춘천군 남면 발산리 황골의 논매는소리-미나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창근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조창근 |
지역개관 | 발산리는 마을 가운데에 있는 산 발봉의 이름을 따서 발산이라 하였으며 산 모양이 바릿대와 같이 생겼다고 한다. 발산1리는 황골, 소암(좌방산), 개골, 작은개골, 큰황골, 작은황골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마을에는 현재 20여 가구가 살고 있으며 논농사와 밭에서 오이, 가지, 고추 등을 재배하고 있다. 예전에는 화전이 성행했던 지역으로 조 10섬을 씨로 뿌릴 정도였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6월 14일에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춘천군) 남면 발산리 황골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창근이 참여하였다. 이별가조의 미나리이다. 미나리는 이곳에 와서 논 두벌을 맬 때 불렀고, 예전에는 산에 가서 화전밭 맬 때도 불렀다. 힘든 일에는 부르지 않았다고 한다. |
가사 | 오늘 만난 친구들은
해가 떠서 올러올 때 이실아침에 만난 친구들이 저녁나절 작별되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