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삶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평창군 용평면 백옥포리 물안골의 논삶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진상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진상 |
지역개관 | 백옥포1리는 본동인 물안골(수룡동), 판관벼슬을 했다는 판관대, 물건너의 갯밭골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고 현재 120여 가구가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다. 논은 샛터말들, 본동들 등이 있다. 진주 하씨가 가장 먼저 들어와서 배판했다고 하는데 지금은 4가구만 남아있고 나머지는 모두 각성바지이다. 마을에는 논이 더 많아 논농사 중심이고 밭에는 옥수수·콩·감자 등을 심는다. 최근에 물안골에는 짐승피해가 많은데 작년부터 산돼지, 고라니, 토끼 등이 마을의 밭으로 내려와 곡식에 피해를 주고 있다. 마을에 있는 산은 동산재산이며 앞으로 흐르는 강은 백옥포천이다. 1974년부터 마을 뒷쪽으로 영동고속도로가 지나고 있다. 동제는 새마을운동 때 4H에서 서낭당을 뜯은 후로는 지내지 않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8월 12일에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백옥포리 물안골에서 채집한 논삶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진상이 참여하였다. 밭은 겨리로 갈고 논은 호리로 갈고 삶았다. 논을 삶는 과정을 보면 먼저 이른 봄에 아이를 갈고, 소만 지나서 1주일 후에 갈을 꺾어 넣었으며 1주일 후에 모를 심는다. 모심기 3일 전에 쟁기로 논을 거슬리고(골을 타고 갈을 덮음), 건삶이(마른 논을 삶는 것. 물을 대지 않은 상태에서 써레로 썰고 나래로 골라, 노글노글하게 만드는 일)를 한 번 치고, 드문드문 또 갈고, 그 다음에 삶는다. 논은 세 번을 삶아야 모를 심기 좋으며 건살미를 치면 두 번을 삶아도 된다. |
가사 | 이러어 어디여 이러
이려 이려이려 어디여 말그루1) 가자 이려 어디여 말그루 왜 말글 비키냐 말그로 가자 이러이러 저 저저 송아지 쫓아줘 송아지 대든다 송아지 쫓아줘요! 이려 말그로 가자 어디여 인저는 돌아를 서라 어추 이려 이려이려 이려 왜 말글 안타고 허투루 가느냐 저 송아지 쫓아주게 또 대들어 쫓아줘! 저 송아지 좀 쫓아줘 이랴 이랴 이려이려 잘 간다 말글 잘 탄다 우리 큰 암소 이 소가 말글 잘 타네 이려 이러 이려 소머리에 모춤이 올라온다 이려 이러 빨리가자 빨리가 어디여 잘두 다닌다 어추우 어디여 돌아를 서라 이러 이려 해는 석양을 넘어가고 모꾼은 뒤따라 온다 이려이려 이려 빨리를 가자 이러이러 어디여 저 1)맑 : 논을 삶을 때, 써레질을 하지 않은, 흙이 덩어리진 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