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풀풀 불어라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육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거문리 사창골)의 아이어르는소리-풀풀 불어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영기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영기 |
지역개관 | 거문리는 사창골, 움골, 교폭, 능골, 곳고니, 외거문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사창골은 학교가 있는 큰 마을이고, 움골은 최씨 산소에 움을 짓고 시묘살이를 했던 곳이며 교폭은 땅이 좁아서 생긴 이름이라고 한다. 그리고 능골은 이 마을에서 제일 높은 백석산 밑에 있는 마을이며, 곳고니는 골이 깊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역시 백석산 밑에 있는 마을이다. 논이 있는 들은 사창골에 중포답, 갈밭뜨루, 생기뜨루 등이 있다. 마을에는 현재 100여 가구가 살고 있는데 예전에는 200여 가구가 넘게 살았었고, 마을에 있는 학교도 학생수가 540여 명에서 줄어들기 시작하여 현재 80여 명이 전교생이다. 마을에는 신씨가 현재의 3반에 먼저 들어와서 터를 잡았다고도 하고 상월오개리에 함경도에서 나온 임씨가 먼저 터를 잡았다고도 한다. 마을에는 옛날 남부자라는 큰 부자가 있어서 평창군까지 자기땅을 밟고 다녔다고 한다. 동제는 마을에 서낭당이 있으나 동답으로 부치던 하천밭을 못부치게 해서 지금은 지내지 않는다. 서낭당에는 절 받은 나무인 큰 느릅나무 두 그루가 있었는데 얼마전 밤에 누가 몰래 베어갔다. 동제를 지내지 않은 지는 4년 정도 되었다. 마을 주민은 대부분 농사를 짓는데 감자· 채소· 찰옥수수를 많이 심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8월 12일에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에서 채집한 풀풀 불어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영기가 참여하였다. 어린아이의 다리힘을 길러주기 위해 아이 겨드랑이를 잡고 좌우로 흔들며 부른다. 풀무소리는 대장간에서 풀무질을 하면서 부르던 소리인데, 아이들 걸음마 하는 모습이 다리를 벌리고 양쪽으로 번갈아 디디는 풀무질과 흡사하여 풀무소리를 아이어르는소리로 차용하는 것이다. 이 지역에도 가창자 나이 마흔살까지는 대장간이 있어서 실제로 풀무질을 하면서 소리를 했는데, 대장간에서 풀무질을 하면서는 “불어라 딱딱 불어라”는 뒷소리로 받는 선후창으로 노래를 했다고 한다. |
가사 | 풀풀 불어라
이리두 딛구 저리두 딛고 대풍구를1) 놓을까 소풍구를 놓으까 풀풀 풀미야 이 쇠가 어데 쇠냐 경상도 안동땅에 제일가는 쇠로구나 이 쇠삯이 얼매던고 미역 한 단 쌀 한 말에 둥둥 풀미야 풀풀 불어라 대꼬가리를2) 불라다가 쬐그만 솥을 하나 붓자 큰 대꼽솥을 붓지 큰 가마를 또 부었구나 풀풀 불어라 1)대풍구 : 큰 풀무. 가마솥 등 큰 도구를 만들 때 쓰인다. 2)대꼬가리 : 담뱃대 꼭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