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평창군 도암면 횡계리의 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정춘, 김인수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이정춘, 나/김인수 |
지역개관 | 평창군은 강원도 중남부에 위치한 군이다. 북동쪽은 명주군, 남동쪽은 정선군, 서쪽은 횡성군, 남쪽은 영월군, 북쪽은 홍천군에 접하고 있다. 군의 총면적은 1,460.20㎢이고, 1995년말 현재 14,789가구에 인구는 49,854명이다. 행정구역은 1읍 7면 183리 751반 509개의 자연마을로 되어 있으며 군청소재지는 평창읍 하리이다. 태백산맥과 차령산맥의 분기점으로 대부분이 산악지대를 이루며, 험한 산지가 남북으로 연속되면서 남쪽으로 지형이 점차 낮아진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6년 2월 5일에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도암면 횡계리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정춘, 김인수가 참여하였다. 아라리는 김 맬 때 10여명이 모여서 반달 모양으로 쭉 매어 가면서 소리를 했다. 옥수수 밭은 두벌을, 서숙(조)밭은 두·세벌을, 보리밭은 한·두벌을 맸다. 나물 뜯으러 가서도 많이 부르며 산에서 남자들과 주고 받기도 했다. 그리고 삼 삼을 때도 잠을 쫒기 위해 많이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가 : 울타리 밑에야 컹컹 짖는 개 저 몹씰 놈으 개야
앞남산 개굴가지가1) 콕 물어만 가게 가 : 밀창문이 딸각딸각해 님 오는 줄으 알았더니 고 몹씰 골방쥐가 날 쇡이구 갔구나 가 : 궐련불이2) 빤짝빤짝해 임 오는 줄으 알았더니 고 몹씰 개똥불이야 날 쇡이구3) 갔구나 나 : 문재 전재 여우재4) 말랑에야 생금이5) 놀면은 놀었지 춘천 가막소6) 마루창 밑에야 일월이 빈출 수 있느냐 가 : 해달은 오늘 가면은 내일이믄 오지만 한 번 가신 우리 님으는 언제나 오나 나 : 보구래7) 연쟁기8) 겉다면은 남이나 빌려를 줬다지 반연히9) 알구야 달라는 것을 안 줄 수가 있나 가 : 당신은 거게 있구야 나는 여게 있어도 젙에 두고 못보니 수천리로구나 나 : 영감은 할멈 치고 할멈은 아 치고 아는 개 치고 개는 꼬리 치고 꼬리는 마당 치고 마당앞에 수양버드나무는 바람을 맞받어 치는데 뒷집 영감은 앞집 과부한테다가 옆눈질만 치누나 나 : 늙은 할미 멋 들었네 이 빠진 데 박씨 박고 머리 신데 먹칠하고 말기는10) 좁게 달고 주름은 넓게 잡고 꼴두바우11) 중석판으루 방아품 팔루 갔는데 삼사춘야 오륙춘 내놓구야 내 집에 놀루 오서요 1)개굴가지→삵괭이. 2)궐련불 : 담배불. 3)쇡이구→속이고. 4)문재 전재 여우재 : 고개이름. 5)生金. 정련하지 아니한, 캐어 낸 대로의 황금. 6)가막소→감옥. 7)보구래 : 쟁기. 소에 메워 논밭을 가는 데 쓰는 연장. 8)연쟁기→연장. 9)반연히→빤히. 10)말기 : 허리에 두르는 치마 윗 부분. 11)꼴두바우 : 지명. 영월군 상동읍 소재. 중석광산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