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앞니 빠진 갈가지, 어깨동무 치동무, 이거리 저거리, 청청 맑어라, 소금쟁이 꽁꽁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평창군 도암면 횡계리의 앞니 빠진 갈가지 · 어깨동무 치동무 · 이거리 저거리 · 청청 맑어라 · 소금쟁이 꽁꽁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60205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강원도 > 평창군 |
생산지역 상세 | 도암면 횡계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0 , 앞니빠진갈가지·어깨동무치동무·이거리저거리·청청맑어라·소금쟁이꽁꽁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강원특별자치도 , 강원도 , 강원 , 평창군 , 1996 , 1996 , 앞니 빠진 갈가지 , 어깨동무 치동무 , 이거리 저거리 , 청청 맑어라 , 소금쟁이 꽁꽁 , 이정춘 , 독창 , |
실연자 | 이정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정춘 |
지역개관 | 평창군은 강원도 중남부에 위치한 군이다. 북동쪽은 명주군, 남동쪽은 정선군, 서쪽은 횡성군, 남쪽은 영월군, 북쪽은 홍천군에 접하고 있다. 군의 총면적은 1,460.20㎢이고, 1995년말 현재 14,789가구에 인구는 49,854명이다. 행정구역은 1읍 7면 183리 751반 509개의 자연마을로 되어 있으며 군청소재지는 평창읍 하리이다. 태백산맥과 차령산맥의 분기점으로 대부분이 산악지대를 이루며, 험한 산지가 남북으로 연속되면서 남쪽으로 지형이 점차 낮아진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6년 2월 5일에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도암면 횡계리에서 채집한 앞니 빠진 갈가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정춘이 참여하였다. 어깨동무 치동무는 동무들과 어깨동무를 하고 가다 땅에 폴짝 주저 앉으면서 부르는 노래, 청청 맑아라는 샘물이나 도랑물의 흙탕물이 맑아지기를 바라면서 하는 노래, 소금쟁이 꽁꽁은 손가락을 세워 들고 그 끝에 잠자리가 앉기를 바라며 하는 노래이다. |
가사 | <앞니 빠젼 갈가지>
앞니 빠젼 갈가지1) 뒷니 빠젼 수마니 뒷질루 가다가 호박줄에 걸려서 퍼덕 퍼덕 한다 앞니 빠젼 갈가지 뒷니 빠젼 수마니 뒷질루 가다가 호박줄에 걸려서 퍼덕 퍼덕 한다 <어깨동무 치동무> 어깨동무 치동무 갈랑잎에 쌓였다 어깨동무 치동무 갈랑잎에 쌓였다 어깨동무 치동무 갈랑잎에 쌓였다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전도 만도 도만도 육지 육지 전라도 전라감사 소래 아랭이 다랭이 경상도 목을 걸구 각지 파랑 목 판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전도 만도 도만도 육지 육지 전라도 전라감사 소래 아랭이 다랭이 경상도 목을 걸구 각지 파랑 목 판 <청청 맑어라> 청청 맑어라 꼴두각시 물 이러 온다 청청 맑어라 꼴두각시 물 이러 온다 청청 맑어라 꼴두각시 물 이러 온다 <소금쟁이 꽁꽁> 소금쟁이 꽁꽁 앉을 자리 좋다 소금쟁이 꽁꽁 앉을 자리 좋다 소금쟁이 꽁꽁 앉을 자리 좋다 (“우리는 그랬지 뭐“) 1)갈가지: 범 새끼. 여기서는 앞니빠진 아이를 놀리는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