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단호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평창군 도암면 횡계리의 어깨동무 치동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유원종, 김남상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유원종, 뒤/김남상 외 |
지역개관 | 계촌리는 샛말, 양지말, 음달말, 점말, 창물골(창수동), 석골, 감동지, 공수앗, 생기터, 굴아우, 남산, 월아우, 안월아우(내월암), 바깥월아우, 논버덩, 느릅실, 대미, 덕머리, 동산, 망전이, 물안이, 박달성애, 밤나무둔지, 뱅실, 병모루, 사리치기, 웃덕머리, 솔둔지, 물골(수동), 아랫덕머리, 뒷골 등 많은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떠나고 점말, 양지말, 음달말, 물골 등에 사람이 살고 있다. 화전이 성행했던 지역으로 당시에 100여 가구 이상이 살았지만 화전정리가 시작되면서 차츰 떠나기 시작하여 지금은 35가구에 100여 명이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다. 마을에는 경주 김씨가 먼저 들어왔다고도 하나 예전부터 각성바지가 모여 살던 마을이라고 한다. 주민들은 모두 농사를 짓고 있으며 논버덩, 베릿재굽(다리를 건너지 않고 물을 따라 돌아가는 것을 베리라 한다고.)에 논이 있었으나 지금은 밭으로 만들어서 무, 배추를 심는 곳이 많다. 주요 농작물은 고랭지채소로 무·배추·양배추·고추 등을 주로 재배한다. 동제는 마을에 서낭당이 있어서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새벽에 서낭제사를 지낸다. 제관은 동네사람 생기를 맞추어서 세 명을 뽑고, 한 명이 축을 읽으며, 제물을 준비하는 생기집이 있다. 금줄은 일주일 전에 치며, 제관들은 초저녁에 생기집에 모여서 밤을 새고 새벽에 당으로 가서 지낸다. 제물비용은 처음에 상포계 자금으로 쓰다가 나중에 동네 기금을 마련했는데 부녀회에서 폐품을 팔아 모은 돈과 동네에서 공동으로 키우는 소가 있어 거기서 나온 돈으로 기금을 마련하여 이 돈으로 충당하고 있다. 서낭제사에 총괄적으로 관여하는 사람은 영좌이며 제사를 지내기 전에 대방 네 명이 당청소를 하고 나무를 준비하여 미리 모닥불을 피우는 등 잔 일을 맡아서 한다. 영좌와 대방은 초상이 났을 때도 앞에서 도맡아 일을 처리한다. 서낭제사를 지낸 다음에는 동네사람들 모두 모여서 음복을 하며 영좌회의를 통해 결산을 보고 영좌, 대방 등을 선출한다. 마을 이장이 관여하는 대동회는 매년 12월 20일에 열리며, 이장선출과 마을 사업보고 등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8월 10일에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방림면 계촌리 수동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유원종, 김남상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아이 맬 때 호미로 찍으며 하는소리이다. 두벌 맬 때와 모심을 때는 아라리를 부른다. 앞소리를 매기는 사람은 일을 하지 않고 소리만 매길 때가 많았다고 한다. 소리 한 마디에 호미 세 번 찍으면 박자가 맞았다고 한다. |
가사 | 어화 얼씬 단호리
어화 얼씬 단호리 천하지 대본은 농사라네 어화 얼씬 단호리 단호리 소리에 논 잘 매네 어화 얼씬 단호리 단호리 소리를 잦추지 말고 어화 얼씬 단호리 논 잘 매느네 우리 농부 어화 얼씬 단호리 어화 얼신 단호리 어화 얼씬 단호리 얼른 매구서 쉬어서 매지 어화 얼씬 단호리 단호리 소리 한 마두에 호무질 세 번 어화 얼씬 단호리 갈게 머리를 둘러를 줘요 어화 얼씬 단호리 고만 매구서 쉬어를 매세 어화 얼씬 단호리 이호호호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