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풀써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기타농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강원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홍천군 내촌면 도관리 물걸의 풀써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강원도편은 CD 12장, 287곡으로 구성되며, 1996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동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동선 |
지역개관 | 도관리는 80여 가구가 살고 있으며 물걸, 동창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논은 동창앞뚜루에 모두 들어가 있다. 전씨가 가장 먼저 들어와서 터를 잡아 살았는데 옛날에 집안에서 용마가 나 모두 망했으나 요즘 다시 일어나기 시작했다고 한다. 마을에는 말(용마)이 빠져죽었다는 말구리소가 있다. 주민들의 생업은 농업으로 밭이 많은데 예전에 밭을 논으로 만들어서 벼농사를 짓다가 그 논을 다시 밭으로 만들어서 고추, 채소 등 특용작물을 주로 재배하고 있다. 이 마을의 노인회관에는 다풍리, 도관1·2·3리, 문연리, 서곡리 사람들이 온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4년 3월 12일에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촌면 도관리 물걸에서 채집한 풀써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동선이 참여하였다. 풀을 썰 때는 풀을 안아다 주는 사람, 풀을 메기는 사람(소리하는 사람), 풀을 써는 사람(작두를 딛는 사람), 풀을 끌어내는 사람(마구치는 사람) 등이 기본적으로 필요하고 규모에 따라 여러 명이 들어 갈 수도 있다. 작두는 둘이 딛는 쌍작두로 어깨동무를 하고 박자를 맞추어 딛는다. 논에는 원래 갈만 꺾어 넣다가 나중에 풀도 베어서 넣었다. 70여년 전인 가창자의 나이 여덟, 아홉살때 풀을 베어서 퇴비를 만들었으며 일본 사람들이 시켰다고 한다. 풀은 7월에 베어서 썰어 두었다가 겨우내 마굿간에 넣어 거름을 만들어 밭(보리, 옥수수, 콩밭 등)이나 논에 넣었다. 가창자는 이 소리를 열일곱살 무렵에 불러 보았다고 한다. |
가사 | 어여해라 해 어여 딛어 빨리!
빨리 빨리 딛어야지 어 잘한다! 참 한아름씩 안아 닥쳐!1) 응달쪽 물갈2) 양지쪽 보서리야3) 자 우러리4) 들어간다 자! 맛 보지마 자5) 여 잘한다 꽝꽝 딛어라 꽝꽝 딛어 개다리 힘 올랐어6) 작두는 개걸작두구7) 다리는 쇠껵다리다8) 자 딛어 엄불 덤불 수박덤불이여9) 자 양구는 쑥대이 춘천은 무릉담10) 함경도 뭉청 들어가는구먼11) 안아 닥쳐라 안아 닥쳐 자 안아 닥쳐라 참싸리12) 알 박았다 오록조록 쪼록싸리13) 참싸리 알박아 도랑건네 쪽버들이다 응달쪽 물갈 양지쪽 보서리야 자 우러리 들어간다 딛어라 딛어 우러리 자 아가리 딱딱 벌려 우러리 들어 우러리 들어간다 자 풀꼬리 밟지 마라 마구 왜 안쳐 마구 쳐야지14) 빨리 그럼 빨리 빨리 해 자 우러리다 우러리야 자 잘먹는다 잘먹어 작두는 개걸작두요 다리는 쇠껵다린데 잘먹는다 자 둥둥 울려 북낭구 처녀 방구꼈다 뽕낭귀야 자 한 다리 들었다 들무나무15) 휘휘칭칭 물푸레 나무 자 응달쪽에 개금남이다16) 덤불 덤불이 수박덤불이야 자 찔룩낭구17) 덤불 들어간다 손 다칠라 정신차려라 덤불 들어간다 덤불 들어가 풀꼬리 밟을라 주의해라 풀꼬리 밟는다 풀꼬리 밟으면 나는 죽어18) 자 잘한다 잘해 쇠껵다리야 쇠껵다리야 무 아가리 딱딱 벌려 잘 멕인다 잘한다 참 한 잔 먹구하자 그럼 먹어야지 1)풀을 한아름씩 안아서 작두에 메긴다(넣는다)는 말. 2)물갈 : 참나무(도토리나무). 응달에서만 자란다. 3)보서리 : 굴피나무. 양지쪽에서만 큰다. 4)우러리 : 굵은 나무. 5)맛본다는 것은 작두를 디딜려다 마는 것을 말함. 6)개다리 심 올랐어 : 기운이 좋아서 잘 딛는다는 것을 우스개로 표현한 것. 7)게걸작두 : 게걸스럽게 먹는다는 말처럼 풀이 쑥쑥 잘 썰어진다는 뜻. 8)쇠껵다리 : 쇠처럼 강하고 억센 다리. 9)엄불 덤불 수박덤불 : 칡덩쿨 등 각종 덩굴. 10)무릉담 : 풀 이름. 무른 풀이다. 무른 풀로는 무릉담, 쑥대, 덤불, 개금나무 등이 있고, 야문 풀에는 보서리, 들미나무, 참싸리, 물푸레 등이 있다고 한다. 11)풀이 한아름 뭉청들어간다는소리. 함경도가 멀리 쑥 들어간 곳에 있기 때문에 비유한 것이라 함. 12)참싸리 : 빗자루를 맬 때 쓰는 빨간 싸리나무. 13)쪼록싸리 : 빗자루 만드는 싸리. 참싸리는 야물고, 광대싸리는 굵으며, 조록싸리는 가늘다. 14)마구친다 : 작두에서 썰어져 나온 풀을 끌어내는 것. 15)들무나무 : 나무 이름. 16)개금남→개암나무. 17)찔룩낭구→찔레나무. 18)작두에 풀을 메길 때 뒤에서 풀 꼬리를 밟으면 작두에 풀이 들어가지 않고 주먹만 들어가 아주 위험하다. |